반기문 불출마로 주목받는 황교안

이영란 기자 / joy@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7-02-03 08:00:0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지지율 2위로 급부상, 황금알 되나
견제의 목소리도 만만치 않아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의 대선 불출마 이후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에 대한 관심이 부쩍 늘어난 반면, 이를 견제하는 당 안팍의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황 대행은 전날 반 전 총장의 불출마 선언 직후 조사한 여론조사에서 지지율 2위를 기록하면서 보수진영의 다크호스로 급부상, '황교안 대안론'의 주역이 됐다.

실제 황교안 대행은 1일 JTBC가 리얼미터에 의뢰, 전국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12.1%의 지지율로 1위(26.1%)를 차지한 문재인 민주당 전 대표에 이어 단숨에 2위에 올랐다. (성인 1009명 상대로 한 유·무선 RDD 전화면접 방식, 응답률은 9.8%다. 신뢰수준은 95%, 표본오차 ±3.1%P.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공정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이에 따라 반총장 불출마로 인한 돌발변수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던 보수진영은 황교안 대행에 대한 기대감으로 고무되는 분위기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2일 “바른정당 소속 주자인 유승민 의원, 남경필 경기도지사가 ‘군소 주자’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반 전 총장의 불출마 선언이 모두에게 큰 충격이었던 게 사실"이라며 "다행히 황교안 대행이 급부상하면서 한 번 해볼만하다는 분위가 형성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이 관계자는 “현재로서 우리가 황 대행에 대해 더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하는 건 집권 여당으로 국정 공백을 최소화하기보다는 정권 재창출에만 혈안이 돼 있다는 이미지 부각에 대한 우려 때문"이라며 “본인이 스스로 결단을 내려서 우리 쪽으로 오고, 당에서는 어쩔 수 없이 받는 모양새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른바 ‘황교안 대안론’은 전날 인명진 비상대책위원장과 정우택 원내대표 등 새누리당 지도부는 황 권한대행을 향해 적극적인 구애에 나선 바 있어 실현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이를 견제하는 목소리도 녹록치 않다.

더불어민주당 박경미 대변인은 이날 황 대행을 겨냥, "허튼 꿈 꾸지 말라"며 "국정농단의 핵심에 황 대행이 있었다는 사실을 부디 잊지 말기 바란다"고 압박했다.

바른정당 정병국 대표와 유승민 의원도 황대행의 대선 출마 가능성 차단에 적극 나섰다.

정 대표는 "(황 대행이) 출마를 한다는 자체가 국민에 대한 도리가 아니다"면서 "(황 대행)출마 여부에 대해서 여론조사를 하거나 출마 권유로 바람을 넣는 사람들도 옳지 못하다"고 비판했다.

유의원도 "(황 대행이) 새로운 보수의 길 같은 그런 철학이 있는지 모르겠다"며 견제구를 날렸다.

특히 민주당 김부겸 의원과 정미홍 전 아나운서는 황 대행 출마와 관련, 날선 설전을 벌이기도 했다.

정 전 아나운서는 전날 KBS ‘대선주자에게 묻는다’에 출연한 김부겸 의원이 황 대행의 출마설과 관련해 “정치적 기회라고 해도 책임을 던지고 새로운 길을 간다는 것은 대한민국에 대한 예의가 아니지 않느냐"고 비판한 데 대해 "사회주의 혁명, 공산주의 혁명 꿈꾸며, 대한민국 정체성을 부정하고 반역 활동해놓고 민주화 운동했다며 전 국민에게 사기 친 자들이 할 소린 아니다”라고 날을 세웠다.

정 전 아나운서는 이날 자신의 SNS를 통해 “애당초 대한민국에 대한 예의를 논할 자격이 없는 자들이 지금 국회의원입네, 대통령을 해보겠네 하며 설치는 것 자체가 대한민국에 대한 예의가 아니라고 본다”면서 이같이 일갈했다.

그러면서 “이 반역 전과자들아! 니들의 범죄를 역사 앞에 제대로 규명하고 잘못된 것들을 바로 잡아 니들을 퇴출하는 게 진정한 대한민국에 대한 예의”라고 주장했다.

한편 이른 바 '황교안 대안론'이 대두되면서 출마에 따른 공직사퇴 시기가 주목을 받고 있다.

2일 법조계와 선관위 등에 따르면 공직선거법 53조에 의거 선거일 90일 전 공직 사퇴가 통상적인 절차다.

다만 대통령 궐위에 따른 보궐선거가 될 경우, 선거일 30일 전 사퇴하면 된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