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종인 “민주당은 찬성하지만 문재인은 자격의심”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대선출마를 선언한 김종인 전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와 정운찬 전 국무총리가 ‘통합정부’ 구성에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함께 할 [대상]에 대해서는 미묘한 견해차를 보였다.
정운찬 전 총리는 5일 통합정부 [대상]에 자유한국당은 불가,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는 가능하다는 입장을 보인 반면 김종인 전 대표는 민주당은 가능하지만 문재인 후보는 안 된다는 입장을 보였다.
정 전 총리는 이날 저녁 CBS 라[디오]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에 출연, “지금 여소야대 상태에서는 누가 대통령이 된들 앞으로 우리의 과제인 경제위기 극복 또는 정치개혁하기가 쉽지 않다”며 “그래서 김종인 박사와 같이 통합정부, 공동정부라는 아[이디]어를 냈다”고 밝혔다.
이어 "제왕적 대통령 제도를 빨리 고쳐야 되는데 현행 헌법으로 대통령을 뽑으니 비록 헌법은 그렇지만 권력을 분산시켜야겠다, 그 전에는 여러 사람이 함께 대통령을 만들어내자, 그래서 뽑힌 대통령이 대표가 되고 나머지 사람들은 같이 거기에 참가해서 국가 의사결정을 공동으로 하자. 그런 것이 통합정부 또는 공동정부”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다른 말로 하면 제3지대를 만들어서 후보를 한번 다시 만들어보자, 이런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통합정부 [대상]에 대해 “민주당 국민의당, 정의당, 자유한국당, 또 바른정당 모두 다 포함된다. 누구든지 통합정부 아[이디]어에 찬성하는 사람 다 모여라 그런 뜻”이라면서도 “단지 자유한국당은 국민들에게 커다란 고통을 준 정치세력이면서도 한 번도 제대로 잘못했다고 하는 처절한 반성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제외”라고 밝혔다.
특히 문재인 후보에 대해 ‘패권적’이라고 비판했던 정 전 총리는 “지금 현재 상황에서는 문재인 후보도 통합정부에 같이 왔으면 좋겠다는 생각”이라고 전했다.
반면 김종인 전 대표는 같은 날 tbs와의 인터뷰에서 ‘그 동안 일관되게 계속 비판을 해 오던 문재인 후보와 친문세력은 제외 대상'이냐는 취지의 질문에 대해 “더불어민주당이라고 해서 전부가 다 패권에 가담하고 있는 사람들은 아니니깐 그렇게 전체를 다 한꺼번에 얘길 할 순 없다”면서 문재인 후보에 대한 개인적 정서의 일단을 내비쳤다.
그는 안철수 후보의 '자강론'에 대해서도 비판적 태도를 견지했다.
김 전 대표는 “39석 밖에 안 되는 후보가 대통령이 된다고 혼자서 자강론을 주장하면, 과연 무엇을 하려고 그 얘기를 하는 것인지, 그게 잘 납득이 잘 안 되는 것 아니냐”며 “정부를 정상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 다른 정파들하고 통합된 정부 형태를 취해야겠다는 것이 국민에게 솔직한 것인데 그런 말은 전혀 언급이 없이 무조건 자강론만 주장을 하니깐 무엇을 어떻게 하겠다는 것인지 인식을 할 수가 없다”고 지적했다.
홍석현 전 중앙일보 회장에 대해서도 정 전 총리와 김 전 대표의 생각이 엇갈렸다.
정 전 총리는 홍 전 회장에 대해 대통령에 뜻을 두고 있는 것 같다고 밝힌 반면, 김 전 대표는 “홍석현 회장이 무슨 정치적인 욕망이 있을 거다,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고 일축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로컬거버넌스] 서울 성동구, ‘주거정책 포럼’ 개최](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06/p1160278518713968_660_h2.jpg)
![[로컬거버넌스] 경남 합천군, 농업 체질 개선 전방위 추진](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05/p1160278371910081_824_h2.jpg)
![[로컬거버넌스] 경기 수원시, 1인가구 지원사업 선도모델 제시](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04/p1160279219128288_343_h2.jpg)
![[로컬거버넌스] 서울 강서구, 민선8기 2주년 구정 성과공유회](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03/p1160278441427235_442_h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