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협치의 틀 만들겠다“ 적임자라면 누구라도 등용할 터

이영란 기자 / joy@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7-04-09 12:50:0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40석 집권 한계? 119석 계파패권이 더 문제...
사드배치, “대통령은 국가 간 합의 이어갈 책임있다”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국민의당 안철수 대선 후보는 9일 "상대방 캠프에 있었던 사람일지라도 문제 해결의 최적임자라면 쓰겠다. 전국에 걸쳐 골고루 인재를 등용하겠다"고 밝혔다.

안 후보는 이날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새 정부는 내각을 새로 구성한 뒤 다른 정당과 협치의 틀을 만들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그는 "집권하면 대탕평 인사를 해 대탕평의 새 시대를 열 것"이라며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대선후보가 섀도 캐비닛(예비내각)을 만들겠다고 했는데, 저는 오픈 캐비닛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인재 풀을 자기 편에서만 찾고 자기 편에서도 말 잘 듣는 사람만 찾다 보니, 무능한 사람이 중요한 일을 해결하는 직책을 맡게 돼 우리나라가 이렇게 됐다"고 진단했다.

특히 안 후보는 문 후보 측의 ‘40석 집권 한계론’ 공세에 대해 "국민의당이 집권하든 민주당이 집권하든 여소야대"라며 "119석 민주당이 계파패권주의에 매몰돼 아무하고도 협치를 하지 않고 그대로 갈 수 있다. 그게 더 안 되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을 외교특사로 삼겠다는 구상에 대해 "경제와 민생 문제를 다 해결해야 하는 데 그런 일들을 병행하면서 반 전 총장이 외교 문제에서 먼저 주요국과 정지작업을 하면 그만큼 문제 해결에 더 속도를 낼 수 있다“며 ”그렇게 풀어가는 게 시작“이라고 밝혔다.

최근 5자 대결에서 “50% 이상 지지로 당선되겠다”고 자신한 배경에 대해서는 "무엇보다 50% 이상의 지지를 받고 당선돼야 훨씬 더 제대로 개혁할 수 있는 힘을 갖는다"면서 "그래서 국민께 호소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대 불가론에 대해선 "연대론이 난무하면 정책 선거가 사라진다“며 ”국가 위기 상황에서 적어도 선거 기간만이라도 정책·콘텐츠 경쟁을 하는 게 소망“이라고 기존의 입장을 고수했다.

다만 "선거가 끝난 뒤 집권한 정당 중심으로 다른 당과 협의해 협치의 틀을 만드는 게 정상적"이라고 밝혔다.

사드배치와 관련해 당초 반대했던 입장을 달리하게 된 이유에 대해서는 “국익에 도움이 안 된다는 판단에 반대했었다. 박근혜 정부가 제대로 된 과정을 거치지 않고 중요한 외교적 수순을 빼먹고 배치에 들어간 것"이라면서도 "그런데 이제 사드 배치가 진행되는 상황에서 더 이상 사드 배치를 반대하고 집권 후 철회하겠다는 것은 대통령이 되겠다는 사람으로서 책임있는 모습이 아니다. 대통령은 국가 간 합의를 넘겨받아야 할 책임이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더 근본적인 것은 사드 문제로 미국과 충돌하면서 한미동맹에 금이 갔을 때 북핵 문제라는 근본 문제를 제대로 해결할 수가 없다"면서 "미국 트럼프 정부와 우리가 대북정책을 긴밀하게 협의해나가야 한다. 그런 관점에서도 반드시 신뢰관계를 계속 유지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