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정당, 11월 전대 속도전에 유승민 ‘멈칫’

이영란 기자 / joy@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7-09-18 10:00:0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당원대표자회의 구성, ‘친김 400 對 친유 200’ 벽 넘기 어려워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바른정당이 새 지도부 선출을 위해 내주 안으로 전당대회를 총괄할 선관위원장을 낙점하는 등 전대 준비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비대위원장'직에 적극적이었던 유승민 의원이 전대 출마에는 망설이는 모습이어서 주목된다.

바른정당 정문헌 사무총장은 17일 "추석 전에 선관위를 띄우고 전당대회 날짜를 확정할 계획"이라며 "주말 여론조사 실시를 감안하면 월요일인 11월 6일과 13일 안이 가장 유력하다. 내일(18일) 열리는 최고위원에서 6일 안을 적극적으로 건의해 컨펌(확정)을 받으려고 한다"고 밝혔다.

바른정당 지도부는 앞서 구체적인 날짜 없이 '11월 전대' 를 의결했으나 11월 중순 이후는 사실상 '예산국회' 모드로 들어가는 상황이어서 11월 초 전대 개최에 힘이 실리는 상황이다.

정 사무총장은 "무게감 있는 선관위원장을 모시기 위해 이미 접촉을 시작했다"며 “다선의 원내외 인사 가운데 당 안팎에서 두터운 신뢰를 얻는 인물이라면 삼고초려를 해서라도 모셔오겠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당 안팎에서는 바른정당이 이처럼 전대 개최에 속도를 올리는 것은 불필요한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는 분석이다.

새 지도부 구성을 놓고 '자강파'와 '통합파' 간 내홍이 극심했던 상황에서 '11월 전대' 합의는 통합파의 시간벌기 전략이었다는 분석이 일각에서 나온 바 있다. 자강파가 당 대표는 물론 최고위원직 다수에 선출될 공산이 큰 만큼 보수통합론이 급물살을 탈 경우 통합파가 전대 이전 움직일 수 있다는 일종의 음모론이었다. 그런데 전대가 진행되면 통합파들이 빠져나갈 명분이 사라진다는 것이다.

하지만 당초 바른정당의 지도 체제 변경 논의 과정에서 비대위원장직을 수용할 의사가 있었던 유승민 의원이 통합파의 거센 반발로 '유승민 비대위 체제'가 물 건너가자 정작 전대 등판론에 대해선 머뭇거리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당 관계자는 “조기전당대회를 실시하기로 한 만큼 당 대표는 당원대표자회의에서 선출하게 되는 데, 당원대표자회의 구성 멤버의 3분의2 가량이 친김무성계”라며 “유 의원이 비대위원장 때와 달리 결단을 내리기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전했다.

실제 당헌·당규상 당의 최고 대의기관인 당원대표자회의는 당 지도부를 비롯해 각 당협별로 당협위원장과 2명의 당원이 참여하는 등 총 600여명 규모인데 약 400명 가량이 김무성계로 알려졌다.

통합파 수장인 김무성 고문은 현재 전대출마를 고사한다는 입장이다.

특히 바른정당이 조기 전당대회로 통합파와 자강파 간 극단 충돌은 피했지만 자강파인 유 의원이 당무 최일선에 복귀하면 양측의 갈등이 재연될 소지가 있다는 전망이다.

지난 13일 의원총회에서 통합파 일부는 유승민 비대위 체제가 결정될 경우 탈당도 불사하겠다는 강경 발언을 쏟아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김무성 의원은 김용태 의원을, 유승민 의원은 다른 주자를 대리인으로 내세우는 ‘김무성-유승민 대리전’ 양상으로 전대가 진행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기도 한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