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트럼프 대통령, “북한 완전 파괴” 발언에

이영란 기자 / joy@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7-09-20 15:14:19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與 ‘침묵’ ...  野3당, “한미동맹 강화”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9일(현지시간) 취임 후 첫 유엔 총회 연설에서 "북한을 완전히 파괴하겠다(totally destroy)”고 언급, 사실상 북한 공격 외에 선택의 여지가 없다고 주장한 데 대해 청와대와 여당은 시큰둥하거나 침묵하는 반응을 보인 반면 야당은 ‘한미동맹 강화’를 주장하고 나서 대조를 이뤘다.

청와대는 20일 ‘평소 발언’이라며 대수롭지 않다는 입장을 보였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미국 대통령이 이례적으로 긴 시간을 할애해 북한 및 북한 문제에 대한 입장을 표명한 것이 북한문제의 심각성을 잘 보여주는 것”이라면서도 “지금까지 최고의 제재와 압박을 강조한 것처럼 경제적·외교적 압박 외 군사적 옵션도 있다는 평소의 발언을 다시 이야기 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특히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와 우원식 원내대표 등 당 지도부는 이날 오전 열린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조차 관련 사항에 대해 별다른 언급을 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홍문종 자유한국당 의원은 "정부 여당은 '완전 파괴'라는 트럼프 대통령의 초강경 경고를 외교적 레토릭 정도로 치부하고 있다"며 안일한 현실인식을 질책했다.

홍 의원은 "이 시점에서 무엇보다 필요한 건 미국과의 신뢰회복"이라며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와 한 목소리로 보조를 맞춰야하는데 대통령과 여당은 북과의 대화를 고집하며 엇나가면서 코리아패싱을 자초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홍의원은 "대통령이 별도의 복안을 갖고 움직이는 거라면 모르지만 현재 상황을 보면 특별한 믿을만한 배경이 있는 것 같지 않다"며 특히 아무런 해법제시도 없이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는 여당에 대해 " 할 말이 없게 된 상황을 이해 못하는 건 아니지만 딱하기는 마찬가지"라고 지적했다.

특히 "미국 조야로부터 수없이 많은 '코멘트'를 듣고 있자면 북핵현실에 대한 국제사회 우려가 여간 심각한 게 아니다"라며 "우물안 개구리식 사고에 사로잡혀 나라를 어렵게 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이런 식으로 국제사회와의 정책공조를 외면하는 방향을 고수한다면 결국 더 큰 파고 앞에 직명하게 되는 건 자명한 일"이라며 "호미로 막을 걸 가래로 막는 불상사가 불가피할 수도 있다"고 압박했다.

정태옥 자유한국당 대변인은 “트럼프의 연설은 당연한 것”이라며 “이를 통해 우리는 한반도가 위기 상황임을 확실히 느꼈고, 또 청와대와 여당도 어설픈 자주론이 아닌 한미동맹과 협의를 통해 기회로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장진영 국민의당 최고위원은 이날 오전 충남 천안 중앙시장에서 열린 현장 최고위에서, 청와대의 송영무 국방부장관에 대한 주의 조치 사실을 언급하면서 "한미동맹에 균열을 주는 발언을 한 특보에겐 아무 조치를 하지 않고 이를 비판한 국방부장관만 꾸짖은 것"이라고 질책했다.

그는 "문정인 특보는 미국과 조율이 없는 상태에서 한미연합훈련 축소를 말해 논란이 일자 '특보 자격이 아니라 개인 자격에서 한 말'이라고 피해갔다"며 "그런데 송 장관이 문 특보를 비판하자 청와대가 송 장관에게 엄중 경고를 했다. 청와대가 문 특보의 손을 들어준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과 전화 통화조차 제대로 못 하면서 한미동맹이 철석같다고 말해봤자 누가 믿겠나"라며 "문재인 정부가 보이는 오락가락, 좌충우돌 행보는 백척간두 위기에 선 한반도에 북한 핵 못지않은 위협"이라고 비난했다.

주호영 바른정당 원내대표는 이날 연석회의에서 “미국에서 북핵 대책관련해 최근에 군사 조치로 무게가 옮겨가고 있다”며 “이번에는 다른 옵션은 없는 듯이 말했다. 이럴 때 일수록 한미동맹의 신뢰와 정보를 기반으로 북핵에 대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바른정당 외통위 간사인 정양석 의원도 “트럼프 연설에 뜨끔할 사람이 문재인 대통령”이라며 “국내에서 우물 안에 개구리 식으로 남북 관계나 핵을 안이하게 보지 말고 국제사회가 어떻게 보는지 느끼고, 우리가 외톨이가 되지 않게 청와대가 느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