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주환경 개선ㆍ소비진작 인프라 구축 추진키로
[홍성=장인진 기자] 충남도가 지역 선순환 경제체제 구축을 위해 연간 27조 원에 달하는 소득 역외유출에 대한 대응책 모색에 나섰다.
도는 27일 도청 소회의실에서 양승조 지사와 도 관련 실·국·원·본부장, 통계청과 한국은행 등 외부 기관 전문가 등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충남 소득 역외유출 대응토론회’를 개최했다.
소득 역외유출에 대한 지방정부 차원의 실행 가능한 정책 대응 방안 모색을 위해 마련한 이날 토론회는 보고와 주제발제, 토론 등의 순으로 진행했다.
유재룡 도 경제정책과장의 ‘우리 도 역외유출 관련 고민과 과제’를 주제로 한 보고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충남의 지역내총생산(GRDP)은 117조 1000억 원으로 전국 최상위 수준으로 나타났다.
같은 해 지역총소득(GRNI)은 ▲피용자 보수 32조7000억원 ▲영업 잉여 17조2000억원 ▲순생산 및 수입세 13조6000억원 ▲재산소득 마이너스 7000억원 ▲고정자본 소모 27조1000억원 등 총 89조9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른 소득 역외유출은 27조2000억원(23.2%)으로 계산됐다.
도내 1인당 GRDP는 4984만원으로 전국 2위이나, 1인당 GRNI는 1666만원으로 전국 8위, 1인당 민간소비는 1366만원 전국 15위로, 도민 1인당 소득과 소비 여력이 매우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에 이은 발제는 통계청 심상욱 소득통계과장이 ‘지역소득통계로 본 충청권의 모습’을,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 정혜림 조사역이 ‘충남지역 생산-소득-소비 경로상 제약 요인 분석’을, 충남연구원 이준원 경제동향분석센터장이 ‘소득 역외유출 관련 충남도 대응 방안’을 주제로 각각 가졌다.
양 지사는 “역외유출을 어떻게 하면 조금 더 완화하고, 우리 도에서 생산된 부가가치가 전부는 아닐지라도 일정 수준 이상으로 도내에 머물 수 있게 만들 방안은 무엇인지 고민이 필요하다”라며 “생산 활동의 혜택이 도민에게 골고루 돌아가 도민의 소득이 좀 더 높아질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진지한 고민들이 역외유출 해소의 출발점이 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도는 이날 토론회에서 전문가들이 제시한 정주환경 개선 방안, 소비 진작을 위한 인프라 구축, 거점지역 개발 등을 세밀하게 검토해 실천 계획을 마련, 2019년부터 중점 추진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