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당-새보수 합당으로 ‘대통합신당’ 출범하지만

이영란 기자 / joy@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0-02-11 11:24:3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공관위 구성-새보수 당직자 고용승계 등 난제 산적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새로운보수당 유승민 의원의 불출마 선언으로 자유한국당과 새보수당 간 통합 논의가 급물살을 타면서 오는 16일 '대통합신당' 당명의 신당 출범을 앞두고 있지만 해결해야 할 난제가 적지 않다는 지적이다. 


통합신당준비위원회(통준위) 관계자는 11일 “통합신당 당명은 ‘대통합신당’으로 잠정 결정하고 오는 16일을 출범일로 잡았다"며 “당헌과 정강.정책의 개요에 대해서도 합의된 상태"라고 밝혔다.


하지만 신당의 지도부 및 공천관리위원회 구성, 새보수당 당직자 고용승계 등의 문제는 여전히 암초로 남아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공천 문제는 여전히 뜨거운 감자로 남은 상태다.


실제 유 의원이 한국당과의 통합을 제안하는 과정에서 유난히 '신설 합당'을 강조하며 한국당 중심의 흡수통합 가능성을 경계한 배경도 사실상 공천문제와 직결돼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앞서 유 의원은 "'도로 친박당'이 될지 모른다는 국민 우려를 말끔히 떨쳐버리는 공정한 공천, 감동과 신선한 충격을 줄 수 있는 공천"을 강조했다. 


이에 대해 통준위 핵심 관계자는 "신설 통합이 이뤄진다면, 현재 공관위가 갖춰져 있는 한국당 체제를 기반으로 새보수당과 전진당 등을 안배해 통합 신당 공관위를 확대 구축해 공천에 대한 여러 의견을 치우침 없이 담는 시스템으로 만들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한국당 관계자는 “새보수당 현역 의원 7인과 이언주 전진당 대표에 대한 공천 심사 과정도 눈여겨볼 대목”이라며 “그들에게 불이익을 주어서도 안되지만 그들에게 특혜를 주어서도 안 된다는 게 당내 다수 의견”이라고 전했다.


당직자 승계 문제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유 의원은 새보수당 당직자 승계를 공개 요구했지만, 황 대표는 기자들에게 “대통합은 누구에게는 이익이 되고 누구에겐 불이익이 되는 통합이 돼선 안된다”며 부정적 입장을 밝혔다. 


이런 가운데 한국당은 오는 13일 전국위원회를 개최해 새보수당, 이언주 의원이 이끄는 미래를향한전진4.0과 합당을 결의하기로 결정했다. 


박완수 한국당 사무총장은 전날 최고위가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전국위는 '신설 합당'을 위한 결정 권한을 최고위에 위임하기 위해 열리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국당 최고위가 위임받아 결정을 내리면 신설 합당 논의는 통합 수임기구로 넘어갈 것으로 보인다. 


신설 합당을 위한 실무 절차를 포함한 법적 절차를 논의하는 수임기구에는 한국당에선 김상훈·송언석 의원이, 새보수당에선 정병국 의원이 참여한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