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한폐렴 입국금지 조치에 여야 시각 엇갈려

이영란 기자 / joy@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0-02-03 15:11:24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성일종 “이제야 입국금지조치....정부, 뒷북”맹비난
남인순 “입국금지요구, 과잉적...메르스 당시와 비교도”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우한폐렴’확진자 추가 발생으로 중국 발 여행객들 입국을 차단하는 세계 각국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는 데 대해 정부 여당 책임론이 제기됐다. 


성일종 자유한국당 원내대변인은 3일 “이제서야 ‘후베이성 방문 외국인을 입국 금지하겠다’는 정부, 뒷북 그만치고 중국인 입국 전면금지하라”는 제하의 논평을 통해 “만시지탄”이라며 정세균 국무총리를 겨냥했다.


성 대변인은 “우리당은 이번 우한폐렴 사태 초기부터 ‘중국인의 국내 입국을 전면 금지하라’고 주장해 왔다”며 “이에 대해 여당은 (그동안) ‘우한폐렴에 대한 과도한 불신을 부추기는 정치적 행위’라며 귀를 기울이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내 확진자 15명이 되자 이제서야 후베이성을 방문한 적 있는 외국인의 입국을 금지하겠다고 밝힌 것”이라며 “뒷북도 이런 뒷북이 따로 없다”고 날을 세웠다.


또한 “미국, 호주, 몽골, 싱가포르, 이탈리아 등 일부 국가가 중국인 입국을 전면 금지한 것에 비해선 턱없이 부족한 조치”라고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특히 성 대변인은 “최근 제주를 다녀간 중국인 여성이 중국으로 돌아간 뒤 우한폐렴 확진 판정을 받은 사실이 언론보도를 통해 알려졌지만 제주도는 해당 여성의 동선조차 파악하지 못한 상태”라면서 “더구나 이 여성은 후베이성이 아니라 장쑤성 양저우에서 입국한 여성으로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이어 “정부가 발표한 입국 금지 기준이 어째서 부족한지 알 수 있는 대목”이라면서 “한국인도, 중국인도 똑같이 존중받아야 하는 인간이지만 대한민국 정부에게는 당연히 한국인의 건강과 안전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같은 날 “(모든 중국인의 입국 금지요구는) 조금 과잉적인 부분이 있다”면서 자제를 요청했다. 


이날 BBS 라디오 인터뷰에 출연한 남 의원은 “지금은 사실 여야 정치권 모두 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해 초당적 협력이 절실한 만큼 정치 공세를 중단해야 한다”며 이 같이 지적했다. 


특히 “메르스 사태 때 당시 박근혜 정부였는데 186명의 감염자와 38명의 사망자를 냈고 초동 대응 실패가 사실 컸다”며 “메르스사태를 계기로 국가 방역체계가 상당히 개편이 되고 인력이나 인프라가 확충돼 신속 대응체계를 구축한 편”이라고 상기시켰다.


다만 그는 사회자가 ‘메르스 사태와 비교를 해 봤을 때 초기 대응에 지금 현 사태가 전혀 문제가 없다고 보는냐’고 묻자 “초기에 전혀 문제가 없다 이렇게 생각할 수는 없다”고 손사래를 쳤다. 


이어 “인력 확보가 충분히 안 되다 보니까 지금도 그런 확진자들이 나오고 나면 또 밀접 접촉자들에 대한 점검을 해야 된다”며 “지금 입국을 금지하게 된 것도 사실 이런 이유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중국인 입국금지 1차 발표가 철수권고로 상향조정되거나 중국방문 금지예정이 달라지는 등 혼선을 빚은 데 대해 “WHO에서도 감염 방지의 수단으로 전체 입국금지를 권고하지 않았다”며 “내국인은 입국을 허용하되 14일 간 자가 격리를 실시를 하고 또 향후 감염증 확산 정도에 따라서 후베이성 입국 금지를 추가 조치를 한다 이렇게 발표했기 때문에 오락가락한다고 느낄 수 있다”고 강변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