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만 기존 필요자금 3조6000억원의 확보는 계획대로 진행하되, 주주배정 유상증자 규모를 2조3000억원으로 줄이는 것이 골자다.
유상증자 축소로 줄어드는 투자 자금 1조3000억원은 한화그룹 김승연 회장의 세 아들이 대주주인 한화에너지 등을 통해 제3자 유상증자 방식으로 확보하겠다는 것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이하 한화에어로)는 8일 유상증자 정정공시를 통해 한화에너지, 한화임팩트파트너스, 한화에너지싱가폴 등 3개사(이하 한화에너지)가 참여하는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방식이 실행되면 한화에너지가 한화에어로의 1조3000원 규모 제3자 배정 유상증자에 4월 내에 시가로 주식을 매수할 수 있는 방안으로 참여한다. 반면 한화에어로의 주주배정 유상증자에 참여하는 소액주주들은 15% 할인 가격으로 주식을 살 수 있다.
이는 한화에너지 대주주가 희생하고, 한화에어로 소액주주가 이득을 보게 되는 조치로, 시가 주식 매수에 나서는 점을 고려하면 주가 상승에도 긍정적 요소로 작용될 전망이다.
또한 한화오션 지분 거래로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서 한화에너지로 건너간 1조3000억원이 다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로 돌아가게 돼 '경영권 승계 자금 논란'이 해소될 것이라는게 회사 측 기대다.
지난달 김 회장이 김동관 부회장 등 세 아들에게 ㈜한화 지분 11.32%를 증여하기로 결정하고, 김 부회장 등이 법에 따라 성실하게 세금을 납부하겠다면서 강조한 ‘정도경영’, ‘투명승계’ 원칙과 같은 맥락이다.
한화에어로는 주주배정 유상증자 공시에 앞서 이사들을 상대로 사전설명회를 하고 이날 이사회를 열어 유상증자 규모를 당초 계획했던 3조6000억원에서 2조3000억원으로 줄이기로 했다. 한화에너지에서 한화에어로에 되돌아갈 수 있는 1.3조원 만큼 축소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한화에어로는 이사회 등에서 제3자 배정 유상증자 등의 방안을 심도 있게 검토 중이다.
한화에어로 손재일 대표는 1.3조원 규모 제3자 배정 유상증자 필요성에 대해 “주주배정 유상증자에 참여할 소액주주들의 부담을 완화하고 기존 주주의 지분가치 희석 부작용을 감소시키면서 필요한 자금 3.6조원을 모두 조달할 수 있는 방안”이라고 밝혔다.
시급하고 절실한 해외투자를 위해 필수적인 유상증자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라는 것이다.
앞서 한화에어로는 지난 달 유럽 방산 블록화와 선진국 경쟁 방산, 조선, 에너지 업체들의 견제 등 급변하는 국제 정세 속에 ‘투자 실기는 곧 도태’라는 생존전략으로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다.
이는 ‘초일류 육해공 종합 방산업체’로 입지를 다지면서 한화오션과 함께 ‘글로벌 톱티어 조선-해양-에너지솔루션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중장기 전략에 따른 것이다.
한화에너지는 이를 위해 최근 이사들 대상 사전설명회를 열어 ‘승계 자금’이라는 억측이 제기된 한화오션 지분 매각대금 1.3조원을 한화에어로에 되돌려 놓기 위한 조치를 논의했다. 여기에는 한화에너지가 한화에어로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에 참여하는 방안 등이 포함됐다는 것.
한화에너지 이재규 대표는 "1조3000억원의 조달 목적은 승계와 무관한 재무구조 개선 및 투자재원 확보였고, 실제 자금 일부가 차입금 상환과 투자에 쓰였다"며 "불필요한 승계 논란에 휘말리지 않기 위해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 참여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