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공간정보플랫폼 화면 예시. (사진=노원구청 제공) |
[시민일보 = 박소진 기자] 노원구(구청장 오승록)가 상계재정비촉진지구 내 무허가건축물 783동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존무허가건축물 공간정보 플랫폼’을 자체 개발해 운영에 들어갔다고 4일 밝혔다.
전국 최초 사례로, GIS(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정교한 공간정보 관리체계를 행정에 접목한 것이 특징이다.
그동안 실무상 기존무허가건축물은 종이 항측도의 스캔본이나 확인원 등 낡은 방식에 의존해 관리돼 왔다. 특히 건물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선 항공사진, 지적도, 건축물대장 등을 각각 다른 시스템에서 따로 확인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환지사업 등으로 주소와 지번이 달라지는 사례도 많아, 정확한 위치 파악에도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구는 QGIS 시스템을 활용해 다양한 공간정보를 하나의 플랫폼에 통합하고, 무허가건축물의 위치는 물론 구조, 면적, 용도, 건축일자 등 속성정보 1만여건을 정리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다.
플랫폼은 특히 현장조사 기능이 강화돼 주목된다. 담당 공무원은 태블릿이나 스마트폰으로 현장에서 즉시 건물 정보를 조회하고, 사진 촬영 후 플랫폼에 곧바로 업로드할 수 있다. 위치 정보도 자동으로 등록돼, 사무실 복귀 없이도 업무 처리가 가능하다. 이를 통해 무허가건축물 실태조사뿐 아니라 재개발 지역내 빈집 조사 등에도 폭넓게 활용될 전망이다.
주민 편의도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과거엔 민원 처리 시 개별 건물마다 측량이 필요했고, 1주일가량의 시간이 소요됐다. 그러나 플랫폼 도입으로 정확한 위치 확인이 가능해져, 신속하고 정확한 민원 대응은 물론, 주민 재산권 보호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이번 시스템은 외부 용역 없이 구청 담당 부서가 직접 개발한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이를 통해 약 6억원의 예산 절감 효과도 기대되며, 향후 재건축 등 도시정비 사업을 담당하는 다른 부서나 기관으로의 확산 가능성도 점쳐진다.
오승록 구청장은 “창의적이고 적극적인 행정으로 일선 현장과 주민이 모두 만족하는 효과가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행정의 효율을 높이려는 노력을 계속 이어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