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대통령,“중대선거구제 도입방안 검토 필요”

이영란 기자 / joy@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3-01-02 14:29:25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승자독식 소선거구제개편 오래전부터 생각해”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2일 '승자독식구조인 현행 소선거구제 대신 중대선거구제를 통해 대표성을 강화하는 방안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조선일보>와의 신년인터뷰에서 “개헌(의제가) 워낙 폭발적이라지금 개헌 얘기가 나오면 민생과 개혁 문제는 다 묻힐 것"이라면서도 이같이 말했다.


이어 "소선거구제는 전부 아니면 전무로 가다보니 선거가 너무 치열해지고 진영이 양극화 되고 갈등이 깊어졌다”며 “그래서 지역특성에 따라 2명, 3명, 4명을 선출하는 방법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정치 시작 전부터 오랫동안 그렇게 생각해 왔다”고 강조했다.


지지율 문제에 대해서는 “선거 때도 오르락내리락하는데 그 원인을 그 때도 잘 모르겠더라. 국민이 대통령다움이라고 하는 어떤 기대치가 있는거 아닌가. 대통령 답게 보이면 아무래도 좋아하는 것 같고 대통령다움이 부족하다고 생각이 되면 덜 좋아하는 것 같은 느낌을 받았는데 정확히는 잘 모르겠다”라며 “그리고 선거 때도 지지율을 올리기 위해서 이런저런 조언을 받았는데 사실 저는 별로 안들었다. 지금도 정치공학적 조언은 잘 안 듣는다. 그리고 여론조사 분석은 가져와도 한 번 열어봤다 닫는다. 국민이 대통령에게 기대하는 태도, 대통령다움이라는 게 어떤 건지 고민하고 있다. 솔직히 지지율은 아직도 잘 모르겠다”고 전했다.


이어 “윤석열다움과 대통령다움은 좀 다르다고 본다. 사람들이 윤석열다움이라고 할 때는 검사 때 타협하지 않는 것을 생각하는 것 같다. 그런 점 때문에 국민이 선거에서 많은 지지를 했다고 생각한다”라며 “다만 대통령은 검사와 하는 일이 다르다. 국민이 든든하게 생각할 수있는 모습이 대통령다움 아니겠는가”라고 했다.


새해 내각이나 대통령실 일부 참모진 개편 계획 여부에 대해선 “국면 전환이나 어떤 정치적인 이유로 하는 인사는 아닌 것 같다. 인사를 너무 자주하면 팀워크가 잘 돌아가지 않는다. 그보다는 업무 적합도 같은 것을 따지고, 더 잘할 수 있는사람을 발견했을 때 인사를 해야 한다”라면서 “지금 함께 일하고 있는 내각이나 참모들이 현재 일을 해나가는 데 큰 문제는 없다고 생각하지만 종합적으로 한 번 판단을 해 볼 생각”이라고 밝혔다.


야당과의 관계에 대해선 “잘 지내야 하는데 서로 간에 생각이 너무 다르다. 대화가 참 어렵다.지난번에 제가 국회 시정연설을 할 때 들어오지도 않았다. 경찰국 같은 예산안을 받아주면 야당에서 원하는 지역상품권 예산을 많이 늘려주겠다고 했는데도 끝까지 문제 삼았다”라며 “일단 여당이 야당과 자주 대화를 하도록 하고 국회 의장단과의 소통을 통해 국회 문제를 풀어나가려고 한다”고 했다.


국민의힘 당 대표 선거를 앞두고 당내에서 이른바 ‘윤심 논란'이 벌어지는 것에 대해 “선거 때는 무슨 윤핵관이라더니 대통령이 되니까 윤심 이런다"며 "제가 검찰에서 수사팀을 구성할 때는 이 수사를 성공시키는데 가장 필요한 사람들을 뽑았지, 옛날에 같이 일했다고 데리고 오는경우는 없었다. 정치도 마찬가지”라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결국은 국민한테 약속했던 것들을 가장 잘할 사람들과 함께 가야 한다. 여의도 정치를 내가 얼마나 했다고 거기에 무슨 윤핵관이 있고 윤심이 있겠나”라고 반박했다.


권영세ㆍ원희룡 장관의 당 대표 출마설에 대해선 “당 대표로 나가든 총선에 출마하든 간에 그건 각자가 선택할 문제"라면서 "이미 한 번씩 검증을 거쳤고 정치권에서도 유능한 분들 아닌가”라고 여지를 남겼다.


다만 한동훈 법무부 장관에 대해선 “마찬가지(로 각자 선택할 문제)”라면서 “그런데 당 대표는 너무 이르잖은가. 한 장관과 업무 문제로 통화할 때 ‘당 대표에 출마할 생각이 있는 거냐’ 물었더니 그냥 웃더라”고 다소 거리를 두었다.


야권 인사들에 대한 검찰 수사를 두고 야당이 정치 보복이라고 주장하는 데 대해서는 “수사에 대해 대통령이 언급하는 것은 온당치 않다"면서도 "그런데 정치 보복이라고 하려면 선거 이후 그야말로 정권이 뒷조사를 했다면 모를까, 지금 수사는 이미 민주당의 대선 경선 과정에서 다 나온 이야기다. 새로운 것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 “정치보복이라는 주장을 이해할 수 없고 대통령의 일도 아니기 때문에 특별히 언급하고 싶은 생각도 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