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진료체계 유지중··· 중증·응급환자 92% 수준 [시민일보 = 문민호 기자]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17일 "의료계가 토론회를 제안하면 정부는 언제라도 대화에 임할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조 장관은 정부서울청사에서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이하 중대본) 회의에서 지난 10일 서울의대-서울대병원 비상대책위원회(서울의대 비대위)의 제안으로 성사된 의정 간 토론회에 대해 "정부와 서울의대 비대위 간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했지만, 문제 해결을 위한 대화를 시작했다는 의미가 있다"며 "이런 노력들이 지속돼 의료계와 대화 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어 여야의정협의체와 의료개혁특별위원회 참여 부탁하며 "이번 의료개혁 토론회처럼 별도의 형식을 제안해 줘도 좋다"고 설득했다.
정부는 공급자단체 추천 전문가가 과반수인 '인력수급추계위원회' 출범을 위해 의료계에게 18일까지 위원을 추천해달라고 밝혔지만, 의료계는 '2025년 증원' 문제를 재논의해야 한다며 불참 의사를 내비쳤다.
조 장관은 "각계 전문가의 논의를 통해 도출되는 수급추계 결과는 인력정책 수립의 기초가 된다"며 "의사단체를 비롯한 공급자 단체, 수요자 단체, 관련 연구기관들의 인력수급추계위 참여를 부탁한다"고 설득했다.
또한 조 장관은 응급실 상황에 대해 "쉽지 않은 상황이긴 하지만 비상진료체계가 유지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에 따르면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의 진료량은 9월 말 기준 평시 대비 입원은 97%, 수술은 93% 수준이며, 10월 초 기준 응급실 내원경증환자 수는 70%, 중증·응급환자 수는 92% 수준이다.
경증환자의 감소로 응급실 내원 이후 전문의 최초 진료까지 걸리는 시간은 평시보다 6.8분 감소한 17.9분이며, 발병 후 응급실 도착시간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다만 정부가 암 진료 협력병원 70곳을 운영하며 암환자 진료를 지원하고 있지만 암환자 진료의 경우 상급종합병원의 암수술은 올해 3~6월 작년 동기 대비 16% 감소했다.
조 장관은 "비상진료체계 유지와 의료 정상화를 위해 지속해서 노력할 것"이라며 의료개혁 완수에 대한 포부를 밝혔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