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쟁은 물론 대선하고 연결이 돼있다. 여야를 막론하고 이념적 지향을 선거의 중요 쟁점으로 보고 있다. 정치권 한 인사는 “이념 논쟁이야말로 그 후보를 정확하게 보여 주는 것 아니겠느냐. 정책의 방향은 바로 이념에서 나오는 것”이라고 말한다.
사실 그동안 ‘사상논쟁’이라고 하면 곧바로 ‘색깔론’으로 이어졌다. 북한과 군사적 대처를 하고 있다는 ‘현실적인’ 사실이 보수 진보 논쟁을 멸공이냐 친북이냐 하는 논리적 비약으로 전개됐다. 소위 ‘북풍’ 사건등도 그런 측면에서 발생했다.
그러나 이제는 그런 관점에서 논쟁을 보지 않아야 할 시점이다. 대선후보의 생각이 어떤 곳을 가리키고 있는지를 서로 명확히 비교해 국민들이 이를 평가할 시점이다. 한 경선 후보가 ‘나의 손가락을 보지 말고 손가락이 가리키는 방향을 봐달라’고 말한 부분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대선 후보들의 이미지를 보지말고 그들이 말하는 진보 혹은 보수의 개념을 잘 살펴야 한다는 이야기다. 결국 이념논란은 정책대결로 까지 이어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교육 환경 경제 의료 등 각 분야에 대한 정책방향의 큰 틀이 ‘이념’에서 정해지기 때문이다.
‘제 3의 길’을 주장한 영국의 앤서니 기든스 교수는 좌우 이념대립을 극복하고 실사구시관점에서 ‘국가와 경제 그리고 시민사회의 관계를 탄력적으로 재구성’하자고 말한다.
그는 ‘사람들을 포용하는 사회(inclusive society)’를 만들어야 한다며 소외된 계층에는 그들 자력으로 변화된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실제로 기든스의 생각은 영국 토니 블레어 정권의 정책 뼈대를 이루고 있다.
이념에 대한 논쟁은 결코 상대방을 흠집내기 위한 수단만은 아니다. 이념에 대한 논쟁을 두려워하는 후보는 결국은 아무런 정책적 방향도 없다고 지적한다면 너무 비약일까.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