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추석명절을 매년 접하면서 조상님들께 햇 곡식으로 밥을 지어 한해 풍년농사를 고하며 후손의 안녕을 기원하고 민속놀이를 즐기는 것으로 대부분 알고 있을 뿐이다.
그러나 대다수의 우리 민족이 무엇 때문에 추석(秋夕)이라고 부르는 지 그 이유를 알고 있는 사람은 별로 없을 것으로 보여 며칠 남지 않은 추석명절에 대한 유래를 가족과 함께 이야기하며 추석을 맞는 것도 괜찮을 것 같다.
추석은 신라 때부터 ‘가윗날’이라 부르는데 김부식이 쓴 삼국사기 유리이사금조에 따르면 당시 신라를 6부로 나눠 왕녀 두명이 각 부의 여자를 대상으로 편을 만들어 7월16일부터 길쌈, 적마(積麻)를 어느 편이 많은 것을 짰는 지를 8월15일 선별해 제일 적게 짠 편에서 많이 짠 편에 술과 음식을 대접하며 승자를 축하했다.
또 가무와 각종 놀이를 즐기며 흥을 내는 등 즐거운 놀이를 한 것을 일컬어 가배(嘉俳)라고 했으며 이때 부른 노래가 슬프고 아름다워 회소곡(會蘇曲)이라고 기록돼 있다.
가베는 ‘가운데`를 뜻하는 것으로 음력8월15일은 만월명절로 볼 수 있으며 진 편에서 이긴 편에 잔치를 베풀었기 때문에 ‘갚는다`는 뜻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여지며 이때부터 가베가 가윗날로 불러졌다.
중국에서 나온 ‘수서(隋書)동이전에는 신라 조에 임금이 가윗날 음악을 베풀고 신하들에게 활 쏘기를 겨루도록해 상으로 말과 천을 하사했다고 기록돼 있으며 구당서(舊唐書)동이전에도 신라국에서 8월15일 음악과 잔치를 베풀었다고 기록돼 있는 것으로 보아 가윗날이 신라 때부터 유래된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추석을 ‘한가위`라고도 하는데 ‘한` 은 ‘크다`라는 뜻이며 ‘가위`라는 말은 ‘가운데`라는 뜻을 가진 말로 8월15일은 8월 한가운데 있다라는 뜻이 담겨있다.
추석이라는 말은 ‘예기`의 `조춘일(朝春日) 추석월(秋夕月)`에서 나왔다고도 한다. 중추절(仲秋節)이라 하는 것도 가을을 초추·중추·종추 석달로 나눠 음력 8월이 중간에 들었기 때문에 붙은 이름으로 해석하는 등 학자들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뜻은 같은 말이다.
이같은 유래를 생각하며 가을 정취와 더불어 오곡이 무르익어가는 풍성한 한가위 명절을 가족과 함게 조상의 얼을 되새기는 즐거운 명절이 됐으면 하는 마음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