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미분양 12만가구 ‘훌쩍’

시민일보 / / 기사승인 : 2008-02-21 19:42:47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IMF이후 최대규모… 경기지역 작년말보다 2만170가구 급증 미분양주택이 지난해 12월 건교부 산정 기준 11만2254가구를 기록한 이후 지난 15일 12만 가구마저 넘어서며 1997년 IMF이후 최대 규모를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부동산 정보업체 스피드뱅크 조사에 따르면, 15일 현재 전국 미분양주택은 모두 12만783가구(임대, 오피스텔 제외)로 12월 11만가구를 넘어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IMF 한파가 몰아쳤던 1998년 7월 11만6000여 가구였던 점을 감안하면 역대 최대 규모다. 미분양주택은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해 2002년 12월 2만4923가구까지 줄었으나, 12월에 이어 최고치를 갈아치우며 10년만에 IMF시절 수준을 넘어서는 12만여 가구로 증가한 것이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의 4만4641가구보다 2.7배 증가한 것으로, 1월(11만3845가구)보다 6.1% 증가한 물량이다.

지역별로는 지난 12월 가장 많은 미분양을 기록한 경기도가 분양 물량이 몰리면서 2만170가구로 가장 많았다. 뒤이어 대구 1만7295가구, 부산 1만2170가구, 경북 1만1356가구, 경남 1만455가구 순이었다.

미분양주택이 급격히 늘어난 것은 건설사들이 분양가 상한제를 피하기 위해 밀어내기 식으로 서둘러 분양한 것이 1월까지 이어졌기 때문이다. 또, 비수기인 설 연휴까지 겹치면서 물량 소진이 더뎠던 것도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더욱이 분양 준비도 안 된 상태에서 입주자 모집공고만 서둘러 발표하고 견본주택 개관을 뒤로 미루는 통에 일반분양 물량도 그대로 미분양으로 남은 단지들도 부지기수인 것으로 조사됐다.

부동산써브 나인성 연구원은 “정부가 지난해 9월 미분양 해소 대책을 내놨지만, 1년 넘게 소강상태를 보이고 있는 분양시장이 활성화될 분위기를 보이지 않고 있다”며 “청약 가점제와 분양가 상한제 민간택지 확대로 유망단지에만 청약하는 쏠림현상이 발생하고 있고, 건설사가 분양가 상한제를 피하기 위해 물량공세를 펴면서 미분양 사태가 악화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