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평화, 작은 갈등 해소부터

시민일보 / / 기사승인 : 2008-12-08 19:16:06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김경인 (인천 남부경찰서 정보보안과) 세계적 경제위기로 지구촌이 고통에 휩싸인 이 때, 인도의 뭄바이에서 발생한 잔혹한 테러는 우리의 마음을 더욱 어둡고 불안하게 한다.

인도 경제 중심부의 상징적 호텔을 대상으로 무고한 민간인들에게 무차별 공격을 감행했다는 점에서 이번 테러는 9.11 테러 당시의 공포를 상기시킴에 충분하다.

450여명의 사상자를 낸 이번 테러를 누가 왜 저질렀는지는 아직 제대로 밝혀지지 않았다. 인도 내부의 불평등에 불만을 품은 자생조직의 소행으로 추정하는 주장이 좀 더 설득력 있게 제시되지만 외국인을 목표로 삼았다는 점에서 알카에다와의 연계 가능성도 거론된다.

그러나 그들이 누구이든, 그리고 어떤 대의나 명분을 내세우든, 무고한 사람들을 무차별적으로 살육한 행위는 결코 정당화 될 수 없다.

이 점은 국제사회가 한목소리로 이번 테러를 규탄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러나 테러에 대한 규탄이나 강경 대응만으로 테러를 종식시킬 수 없음을 역사는 이미 증언하고 있다.

국내외적인 불의나 종교적, 인종적 차별 등이 극단주의와 증오에 바탕을 둔 테러리즘을 낳기 때문이다.

이번 테러도 예외가 아니다.

이번 공격이 무슬림을 처형한 것에 대한 복수라고 밝히는 등 테러범의 발언이 그 단적인 예다.

19세기에 인도에서는 식민종주국인 영국의 분열주의 정책에 따라 무슬림들은 차별의 대상이 돼 왔으며 지금도 상황은 다르지 않다.

인도 정부의 조사로도 11억 인구의 13.4%를 이루는 무슬림들은 힌두인들에 비해 더 가난하고 교육도 덜 받으며 평균수명도 짧은 것으로 나타난다.

이런 내부적인 문제의 해결 없이는 테러의 근원적 해결이 어려울 수밖에 없다.

테러의 배후를 찾아내 처벌하는 것 못지않게 테러의 원인을 규명해 예방하는 것도 중요하다.

인도의 힌두교와 이슬람교간 종교 갈등과 함께 신분 질서에 따른 계층 갈등처럼 대내외적 갈등 요인을 해소하지 않으면 테러가 경제대국으로 가는 인도의 발목을, 인도주의를 바탕으로 하는 지구촌의 평화를 잡는 걸림돌이 언제라도 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