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저녁으로 쌀쌀한 기온에 두터운 웃옷을 챙기는 걸 보니 겨울이 머지않았다.
이러한 계절의 변화는 우리 소방공무원들에겐 좀더 실감나게 다가온다.
바로 증가하는 화재출동건수 때문이다.
가을철은 봄이나 겨울에 비해 화재건수가 높지 않느나 겨울이 시작되는 11월부터는 각 가정이나 직장에서의 난방기구의 사용 증가와 유류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화재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실제로 농가 주택과 창고시설등에서 많은 화재가 발생하고 있다.
강화소방서에서는 매년 11월을 '불조심강조의 달'로 정해 TV등 언론매체를 통한 불조심 홍보 및 각종 경연대회, 119안전체험장 운영, 불조심 캠페인 등 홍보활동 강화 및 다중이용업소 등 화재취약대상에 대한 집중적인 소방안전교육과등 대대적인 화재예방활동을 전개해 다양한 안전시책들을 추진할 계획이다.
겨울철 화재예방을 위해서는 첫째, 석유난로는 불이 붙어 있는 상태에서 연료를 주입하거나 이동하지 말아야 하고 난로 주위에는 항상 소화기나 모래 등을 비치, 만일의 상황에 대비해야 한다.
둘째 보일러실과 난로 주변에 어린이들만 남겨둔 채 자리를 뜨거나 외출하는 것을 삼가고 특히 성냥이나 라이터 등 물건들은 어린이들의 손이 닿지 않는 안전한 장소에 보관하며 평소 불에 대한 무서움을 인식시켜 불장난을 하지 않도록 한다.
셋째 전기난로 및 가스기구 등은 충분한 거리를 유지해 설치하고 주변의 인화성 물질을 적치하거나 보관하지 말아야 한다.
이처럼 화재예방법은 우리가 너무나도 잘 알고 있는 것들이다.
하지만 이렇게 잘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설마 나에게 그런 일이...’라는 안일한 생각이 대형화재로 이어질 수 있음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화재가 발생할 경우 초기에 소화하면 피해를 줄일 수 있지만 5분이 경과하면 걷잡을 수 없이 연소 확대돼 소방차가 출동해 진화해도 피해가 크게 줄어들지 않으므로 만일의 사태를 대비해 각 가정마다 소화기 한대씩은 꼭 비치해야 한다.
화재초기시 소화기 한대는 소방차 1대와 같은 효과를 내기 때문이다.
우리 강화는 수도권 제일의 휴양지이다.
많은 관광객들이 편리하고 안전하게 관광을 즐기고 안전한 강화도 이미지를 주기위해 겨울철 소방안전에 대비하자.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