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가 가속화되면서 이제 가을이 있었는지 모르게 겨울이 벌써 오고 있고 난방기구 등을 서둘러 꺼내는 시기가 왔다.
이러한 시기에 화재가 많이 발생한다는 통계를 통해서 알 수 있다.
오랜만에 보일러, 온풍기 등을 가동하면서 안전점검을 소홀히 해 발생하는 인재이다.
김포소방서에서는 금년 11월부터 익년 2월까지 겨울철소방안전대책을 수립해 화재 등으로 인한 인명과 재산피해를 최소화하고자 전직원들이 노력하고 있다.
항상 사고는 예기치 못하고 또 별 일 없지 하면서 안전을 무시하는 데에서 발생하고 있다.
요즘 아무리 방화사건이 많다 해도 예기치 못한 가정에서의 화재로 내 가족이 희생자가 되고 공장에서의 화재로 직장을 잃는 경우가 발생할 때마다 조금 더 관심을 갖고 있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화재가 나서 인명피해만 있으면 언론에서는 스프링클러 설비가 없다고 생생내기 멘트를 하지만 정작 법에 없는 것을 강제로 시킬 수는 없는 것이 법치주의다.
법으로 강화할 수 있도록 언론에서 정부를 견제해야지 안전을 위해 시설을 조금 강화하면 관공서에서 규제를 한다고 하는 언론을 볼 때마다 법만을 따지다, 사고가 생기면 소방서의 탓을 하는 언론이 서운할 때가 많다.
한편 좀 더 대국적으로 볼 때 경제적 가치와 소방안전 확보는 비교가 될 수 없다는 것을 잘 알면서도 경제를 무시 못하는 것은 우리의 이기심이 아닌가 한다.
온 국민이 1개 이상의 보험을 가입하는 요즘 소방안전을 보험에 비교해보면 소화기를 가정마다 구입하는 것은 책임보험이요, 단독경보형감지기를 구입해 설치하는 것은 종합보험이고 스프링클러를 설치하는 것은 종신보험에 해당하지 않을까?
물론 스프링클러설비는 많은 경제적 비용과 유지·관리에 많은 비용을 초래해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은 것은 자명하다.
하지만 소화기와 단독경보형감지기는 경제적 비용은 많지 않지만 효과는 대단히 크다.
소화기는 감전위험을 덜어주는 만능소화약제이며, 또한 단독경보형감지기는 전선이 필요없고 전원이 건전기로 연기를 감지해 벨이 울림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재감지기이다.
올 겨울은 소화기와 단독경보형감지기라는 보험에 가입해 따뜻한 겨울을 나시는 것이 어떨까.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