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미로 뿐만 아니라 교통수단으로서 자전거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점차 늘어가고 있다.
우리나라 같이 석유가 나오지 않는 나라에서 에너지 절약 차원에서 뿐 아니라 오존층 파괴 같은 환경오염의 문제 시각에서 본다면 자전거를 이용하는 것이 개인적으로나 국가적으로 상당히 이로운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우리나라 자전거의 교통 분담률은 상당히 낮다고 할 수 있다.
몇몇 선진국에서는 자전거의 교통 분담률이 27%에 이르고 있는 곳도 있다고 하는데 우리나라는 현재 1.2%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 역시 교통수단보다는 레져 수단으로 이용하고 있는 형편이다.
또한 아직까지 자전거를 이용하는 시민들의 질서의식이나 안전의식의 고취가 미약하다는 점도 문제이다.
자전거 역시 교통수단인 만큼 개인의 평상시의 안전 확보가 결여된다면 다른 교통사고보다 훨씬 더 위험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자전거를 이용하는 시민들은 평소 개인 안전장구 등을 필히 착용하는 습관을 들여야 할 것이다.
아울러 교통법규 준수에도 더욱 신경을 써야 할 것이다.
독일에서는 자전거와 친숙한 도시 130개를 시범 운영하고 있으며, 네덜란드에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자전거 활성화 대책으로 자전거 도로와 관련법규가 잘 정비돼 있다고 한다 .
이에 발 맞춰 우리 인천시도 자전거 이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해 자전거 방치시 도난 방지대책이나 전철 이용시 자전거를 사용해 환승할 수 있는 체제, 좀 더 안전하고 편리한 자전거 도로의 확보 등 제도적인 보완책이 필요할 것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이 땅은 후손에게 잠시 동안 빌려 쓰는 것이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은 무분별하게 환경을 훼손하는 행위는 우리 세대의 불행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후세에게까지 그 불행을 넘겨주는 것이므로 환경에 대한 경각심을 높여야 한다는 것이다.
자연과 조화롭게 살아가는 세상, 이것이 우리의 바람이며 함께 이뤄 나가야 할 우리의 과제이자 사명인 것이다.
이번 주말에 가까운 공원으로 나가 지구 온난화 방지와 에너지 절약, 건강을 위해 타면 탈수록 행복에너지로 전환되는 자전거를 한번 타보는 건 어떨까.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