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한 질문에 대한 대답이 무수히 존재하겠지만 과거의 성현인 노자가 제시하는 사회가 지역치안의 책임을 지고 있는 경찰의 입장에서는 한번쯤 고려해 볼만한 바람직한 틀을 제공하고 있는 것 같다.
같은 시대를 살던 공자는 입신양명을 위해 천하를 떠돌아다니면서 사회의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기 위해 노력한 것에 비해, 노자는 무위자연을 이야기 하며 세상을 뒤로하고 국경의 관(關)을 빠져나갈 때 小國寡民(소국과민 : 나라는 작게 만들고, 백성의 수는 줄인다 )이라는 이상향을 제시하고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이 대목이 지역치안 활동을 전개하는 경찰관의 입장에서는 반가운 조언이 아닐 수 없다.
현대 사회에 있어 백성(주민의 수)의 수는 인위적으로 줄일 수는 없으나 자기가 살고 있는 지역을 작게는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어떻게 작게 만들 수 있을까? 경찰서가 담당하고 있는 지역을 일정한 조건에 의해 나누어 그 지역을 일정한 경찰관에 의해 살피고 근무하게 하는 지역책임제가 노자가 제시하는 이상국가에 가장 가까운 모습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 본다.
일정지역에 근무 배치된 경찰관은 그 작은 지역의(小國)의 한 가족의 가장의 역할을 수행하는 관리자로서 자기 가족을 보살피고 보호한다는 마음가짐으로 근무할 수 있어 주민들과의 소통이 빈번히 이뤄질 수 있는 여건이 자연스럽게 조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정된 경찰인력으로 경찰본연의 존재 목적을 수행해 나가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고 시행되고 있는데 모든 제도와 계획은 의식 및 관점의 전환이 바탕이 되어야 할 것이다.
노자가 제시한 소국과민의 이상향이 현 시점의 경찰조직의 지역책임제로 환원될 수 있고 모토가 될 수 있다는 관점 및 의식의 전환이 필요한 시기이고 실천할 수 있는 동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지역의 안전은 구석구석 살펴보는 면밀한 눈빛과 부지런한 발걸음에서 만들어 진다는 것을 2천5백 년 전 세상을 등진 성현의 말 속에서 단초를 찾을 수 있다는 점에 세삼 고개가 절로 숙여진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