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 장마가 끝이 나고 따가운 햇살과 매미소리가 어느덧 여름휴가철이 왔음을 알리고 있다.
매해 여름휴가철 마다 해수욕장, 강, 계곡, 수영장등에서 되풀이 되는 물놀이 안전사고의 대부분은 간단한 안전수칙 숙지로 본인 스스로가 예방할 수 있다.
그럼 물놀이 시 숙지해야할 안전수칙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면 가장 우선인 것은 준비운동이다. 물에 들어가기 전에는 반드시 준비운동을 실시하고 혼자 수영하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다.
두 번째로 술을 마신 후에는 수영을 금해야하며 야간에 수영은 반드시 금해야 한다. 세 번째로 피서 출발 전에는 피서지의 기상상태를 확인하고 일기예보를 수시로 확인해 해변의 높은 파도,조류를 피해야하고 특히 강에서 급류 등에 주의해야한다.
네 번째로 수상스키나 래프팅 등 수상 레저를 즐길 시에는 수영이 능숙하더라도 꼭 구명조끼를 착용하자. 마지막으로 장시간 쉬지 않고 물속에 오래 있다 보면 다리에 근육 경련이 일어나 익사 사고를 당할 수 있으므로 자주 물 밖으로 나와 휴식을 취하고 물놀이 도중 추위를 느끼면 밖으로 나와 타월로 몸을 감싸 체온이 떨어지는 것을 막는다.
그러나 안전수칙을 숙지하더라도 예상치 못한 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 물놀이 중 사고가 나더라도 당황하지 말고 아래와 같이 조치하면 큰 인명사고는 예방할 수 있다. 우선 사람이 물에 빠지는 사고가 발생시 큰소리나 물건을 두들겨 주위사람에게 알리고 절대로 혼자서 구하려 물에 뛰어들지 않는다.
주위의 로프나 튜브 등 물에 뜨는 물건이 있는지 확인해 익수자에게 던져 주고 주변사람에게 알려 신속히 119로 사건발생을 신고하고 부득이하게 인명구조를 할 때에는 수영에 자신 있는 사람이라도 필히 물에 뜨는 물건을 이용해 인명구조를 실시해야 하며 익수자의 뒤쪽에서 구조작업을 실시해야 사고를 방지 할 수 있다.
구조 후 환자가 의식이 없을 시에는 지체 없이 심폐소생술을 실시하고 심폐소생술을 잘 모르는 거나 익숙하지 않을 경우에는 구급대원 도착 전 까지 환자의 유두와 유두사이 가운데를 두 손바닥이 아랫방향을 향하게 깍지를 끼고 팔을 핀 상태로 압박해주는 것만으로도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
이러한 안전사고 예방요령과 대처법들을 머릿속에 기억하고 있다면 사랑하는 사람들과의 좋은 시간, 아름다운 추억을 만드는 이번 휴가가 될 것이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