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 혁신안 ‘용두사미’ 되나

이영란 기자 / joy@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9-07-26 00:48:0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한국, 혁신안 만들었지만 현역의원 반발로 논의 미뤄
바른, 당 혁신 아닌 당권투쟁 도구로 이용돼다 '좌초'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이 당 혁신을 위한 혁신안 마련에 공을 들이는 모습이었으나 ‘용두사미’로 끝날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이다.

25일 현재 한국당은 지도부에 보고된 혁신안에 대한 최종결정이 미뤄지고 있는 배경을 두고 잡음이 일고 있고 바른미래당은 당 혁신이 아닌 ‘대표 퇴진안’에 치중한 혁신안이 반발을 사면서 당내 갈등을 키웠다는 관측이다.

한국당 관계자는 “ 높은 신인 가산점과 현역 의원들에게 불리한 감점제를 적용한 ‘공천 혁신안’ 내용이 사전에 알려지면서 현역의원들이 반발하고 있고 이 때문에 당 지도부 결정이 미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 한국당 공천안은 최고위원회 의결을 거쳐 황교안 대표가 최종 승인하게 돼 있지만 예상을 뛰어넘는 당내 반발로 당 지도부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앞서 한국당 신정치혁신위는 내년 총선을 위한 공천 심사 과정에서 중징계나 탈당 이력 등 당에 손해를 끼친 정도에 따라 최대 30%의 감점을 주는 방안과 함께 청년(만 45세 이하) 후보자에게 40%, 정치 신인에게 50%의 가점을 주는 방안을 논의했다.

특위 논의과정에서 50%나 되는 가점이 현역 의원들에게 과도하게 불리하다는 반대 의견이 상당했으나 외부 위원들을 중심으로 ‘혁신 없이는 총선에서 이기기 힘들다’는 의견이 힘을 얻어 관철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이를 확정해야 하는 당 지도부의 속내는 복잡하기만 하다.

당 관계자는 “당의 혁신을 위해서는 혁신적인 공천안을 내놔야 하지만, 패스트트랙 정국 내내 계속된 장외투쟁 과정에서 지도부를 도왔던 현역 의원들이 공천안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는 상황을 무시할 수도 없을 것”이라며 “장외투쟁 내내 지역 조직을 모으고 지원을 해온 현역 의원들은 지금 공천안을 그대로 확정할 경우 심하게 반발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어 "특히 이 과정에서 우리공화당 존재를 무시할 수 없을 것"이라며 "지도부가 공천룰 결정을 미루고 있는 결정적 이유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바른미래당은 젊은 혁신위를 꾸려 패기 있게 출범했지만 이른바 ‘검은 세력’ 논란을 일으키며 아예 혁신안조차 만들지 못했다.

당 관계자는 “당초 2030 세대를 겨냥해 호기롭게 출범한 혁신위가 혁신안 보다는 ‘당 대표 퇴진'에만 공을 들이다 좌초된 꼴"이라며 "혁신안이라면 민주당이나 한국당을 뛰어넘는 혁신정당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데 염불보다는 젯밥에 관심을 보이다 당이 백척간두 위기에 몰리게 됐다"고 성토했다.

실제 주대환 전 혁신위원장은 지난 11일 오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바른미래당 혁신위원장 자리를 내려놓고자 한다"면서 "젊은 혁신위원들을 뒤에서 조종하는, 당을 깨려는 검은 세력에 대해선 크게 분노를 느끼고 규탄하지 않을 수 없다"고 사퇴 이유를 밝혔다.

그는 ‘당을 깨려는 검은세력’에 대해 "혁신위가 어떤 미래 비전, 당의 발전전략 이런 걸 내놓지 않고 계속 딱 하나의 단어, "손학규 퇴진" 그 얘기만 계속 하는 분들이 혁신위 절반이었다. 그걸 말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후 주 전 위원장이 지칭한 ‘검은 세력’의 실체가 유승민 의원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실제 조용술 최고위원은 최근 "유 의원이 측근 국회의원 두 명을 대동하고 주 전 위원장을 만나 손학규 퇴진안을 만들도록 종용했다는 제보가 당 사무처로 들어왔다"고 주장하면서 자신도 유 의원 측근인 이혜훈 의원으로부터 (같은 내용의) 압력을 받았다고 폭로했다.

이에 대해 유 의원은 주 전 위원장을 만나기는 했으나 퇴진안을 강요하지 않았다고 해명했고, 이 의원은 조 전 위원을 만난 사실과 퇴진안을 요구한 사실을 모두 인정하면서도 압력이 아니라는 취지의 해명을 내놨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