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제로금리 유지’ 정책이 국내 물가에 ‘악재’로 작용할 것이라는 우려가 높다.
여기에 폭우로 인한 채소류 가격 상승, 전세값 급등, 공공요금 인상 등 국내 요인들은 하반기 물가상승의 ‘복병’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정부가 당초 목표로 제시한 연평균 4.0%의 소비자물가 달성에도 잔뜩 먹구름이 끼었다.
환율상승 등 금융불안도 물가 상승을 부추기는 요인이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 1~12일 10영업일간 28원 올랐다. 이는 수입물가 상승으로 이어져 향후 생산자·소비자물가에 전가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당초 물가안정을 위해 금리인상에 나설 것으로 전망됐던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이번 달 기준금리를 3.25%로 동결하면서 속도 조절에 나섰다. 국제 금융시장 불안 등 해외 위험요인으로 불확실성이 커졌다는 이유에서다.
김중수 한은 총재는 장기적으로 금리인상 기조를 이어가겠다고 했지만, 금리인상 시기를 놓쳐 물가불안을 가중시켰다는 지적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재정부 역시 ‘물가안정 중심’의 정책 기조는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지만, 경기악화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물가에만 매달리기는 쉽지 않다.
올해는 이른 추석까지 겹쳐 ‘추석물가’에도 비상이 걸린 상황이다.
여기에 하반기 공공요금 인상까지 더해질 경우 연평균 소비자물가가 4.0%를 넘어설 것이라는 견해가 힘을 얻고 있다.
물가를 연평균 4.0% 이내로 유지하려면 8월부터 향후 5개월간 평균 3.7%를 넘지 않아야 하는데, 가능성이 낮다고 보는 것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