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시민일보] 오는 12월 19일 치러지는 제18대 대통령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와 민주통합당 후보로 누가 선출될까?
새누리당 후보로는 73.6%의 응답자가 박근혜 전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을 꼽은 반면, 민주통합당 후보로는 43.7%만 문재인 민주통합당 상임고문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31일 여론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대표 이형수)에 따르면, 새누리당 대선후보는 73.6%가 박근혜 전 위원장, 6.3%는 김문수 경기도지사, 3.0%는 김태호 새누리당 의원, 0.9%는 안상수 전 인천시장, 0.5%는 임태희 전 대통령실장이 될 것이라고 응답했다.
특히 경북권의 86.0%, 30대의 79.9%, 새누리당 지지 응답자의 88.8%가 박 전 위원장의 대선주자 선출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새누리당 경선에서는 ‘박근혜 대세론’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반면 민주통합당 대선후보는 43.7%가 문재인 상임고문을 꼽았으나, 절반에는 미치지 못했다. 뒤이어 10.8%의 김두관 전 경남도지사, 10.0%의 손학규 민주통합당 상임고문, 2.8%의 박준영 전남도지사, 1.9%의 김영환 민주통합당 의원, 각각 1.7%의 김정길 전 행자부장관과 정세균 민주통합당 상임고문, 0.4%의 조경태 민주통합당 의원 등이었다.
따라서 결선투표에서 뒤집어 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문재인 상임고문은 40대의 52.4%, 전라권·경남권의 47.9%·47.8%가 대선주자가 가능성을 가장 높게 봤다.
김두관 전 도지사는 30대의 13.7%, 충청권·서울권 16.1%·13.9%의 가장 높은 지지율을 얻었다. 민주통합당 지지 응답자들은 58.7%가 문재인 상임고문 가장 많이 지목하고, 후순위로는 손학규 상임고문(8.9%), 김두관 전 도지사(8.2%), 박준영 도지사(5.8%) 등의 응답을 보였다.
모노리서치의 이재환 선임연구원은 “새누리당의 경우 새누리당 지지 응답자와 지지자가 아닌 경우 모두 박근혜 전 위원장에게 압도적인 응답률을 보인 반면, 민주통합당의 경우 문재인 상임고문의 강세 속에 민주통합당 지지 응답자와 전라·충청권 등의 응답자에서 전체 평균 결과와 다소 상이한 결과를 보이며 변수 발생의 가능성이 엿보인다”고 밝혔다.
한편 대선 출마의 수순을 거치고 있는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원 원장의 향후 행보를 묻는 여론조사에서는 27.0%가 ‘선출된 야권 대선후보와 최종 경선’을 예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21.7%가 ‘독자 정당 창당 후 대선 출마’, 20.0%가 ‘야권 대선 후보 경선 참여’를 예측했다.
야권단일후보로 적합한 인물로는 안철수 원장과 문재인 민주통합당 상임고문이 오차범위 내 박빙의 최고 응답률을 보였다.
안철수 원장과 야권에서 선출된 대선후보가 최종 경선을 통해 후보 단일화를 한다면 어떤 인물이 ‘적합’ 한지를 묻는 조사를 진행한 결과 안철수 원장이 28.4%, 문재인 상임고문이 26.1%의 응답이 나왔다.
이어 11.5%의 김두관 전 경남도지사, 9.4%의 손학규 민주통합당 상임고문, 1.0%의 유시민 전 통합진보당 공동대표 등의 순이었다.
야권단일후보로 안철수 원장이 적합하다는 응답은 40대(34.7%)와 20대(34.4%), 전라권(36.4%)과 서울권(31.2%)에서, 문재인 상임고문은 30대(32.0%)와 40대(29.9%), 경남권(29.9%)과 서울권(28.4%)에서, 김두관 전 경남도지사는 30대(22.9%)와 40대(10.3%), 경남권(17.4%)과 경북권(14.4%)에서 응답률이 높았다.
또 새누리당 지지 응답자들은 문재인(20.2%)-김두관(15.2%)-안철수(14.4%), 민주통합당 지지 응답자들은 안철수(41.4%)-문재인(35.1%)-김두관(8.8%) 순으로 응답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재환 선임연구원은 “안철수 원장의 대선행보에 대해 응답 순위가 바뀐 것은 안 원장이 야당 색채를 점점 더 확실히 보여주는 점, 야당의 경선이 현재 진행 중이고 단일노선을 추진하기엔 시간이 많지 않다는 점 등 현실 상황을 고려한 결과로 보인다”면서도 “적합 단일후보로 안 원장과 문재인 상임고문이 경합을 벌이는 것으로 나온 조사 결과는 대선주자 다자대결 또는 가상의 양자대결 결과와 다소 엇나가는 것으로 가능성과 인물론에서 응답자들의 인식 간극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26일 전국 19세 이상 남녀 1,487명을 대상으로 일반전화 RDD(무작위 임의걸기) IVR(ARS) 방식으로 조사했으며 성별, 연령별, 지역별 인구비례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53%p이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로컬거버넌스] 경남 합천군, 쌀 산업 위기 극복 팔걷어](/news/data/20251119/p1160278499965424_411_h2.jpg)
![[로컬거버넌스] 경남도교육청, 올해 ‘공동 수학여행’ 성공적 마무리](/news/data/20251118/p1160278826050924_127_h2.jpg)
![[로컬거버넌스] 부천시, 매력적인 도시공간 조성 박차](/news/data/20251117/p1160308292200179_732_h2.jpg)
![[로컬거버넌스] 전남 영암군, ‘에너지 지산지소 그린시티 100’ 사업 추진](/news/data/20251117/p1160278744105355_303_h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