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당원혁명’ 기대 한다

고하승 / / 기사승인 : 2014-11-26 16:23:55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편집국장 고하승


새정치민주연합평당원협의회 임홍채 대표가 26일 여의도 <시민일보> 본사 국장실을 방문했다.

최근 필자가 <여야, ‘당원주권’ 회복에 나서라>는 제목의 칼럼에 이어 <野 평당원, ‘당원혁명’ 성공할까?>라는 제하의 칼럼을 통해 ‘여야 당 지도부는 당원의 당연한 권리인 당직자 투표권을 당원들에게 돌려주어야 한다’는 취지의 주장을 한 것에 대한 감사의 뜻을 전하기 위함이라고 했다.

바로 그 시각에 이훈평 전 의원으로부터 ‘감사’와 ‘격려’의 전화를 받기도 했다. 권노갑 상임고문도 지금 필자의 칼럼을 보면서 ‘당원주권회복’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말을 하기도 했다.

며칠 전에는 새누리당 당원이라고 밝힌 독자의 전화를 받았었다.

그는 “예전에는 집권당 당원이라는 자긍심이 대단했는데, 요즘은 투표권도 행사하지 못하거나 행사하더라도 당원이 아닌 사람들보다 못한 취급을 받는데 대한 자괴감이 든다”고 불만을 표출했다.

여야 당원들이 느끼는 상실감이 생각했던 것보다 매우 심각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이미 수차에 걸쳐 밝혔듯이 필자는 “‘오픈프라이머리(국민참여경선)’를 내세운 기득권 세력(여야 당 지도부)에 의해 ‘당원주권주의’가 흐지부지될까 봐 걱정”이라며 “여야 당 지도부는 오픈프라이머리를 전면폐지하고 당원주권을 회복하는 방향으로 논의를 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즉 당 대표나 최고위원은 물론 시도당 위원장 및 지역위원장 등 당직자를 선출할 때, 당의 주인인 당원들이 직접현장에 나가서 투표를 하는 방식으로 진행해야 한다는 뜻이다.

사실 ‘오픈프라이머리’는 정당이 후보를 선출하는 경선에 참가할 수 있는 자격을 당원에 국한하지 않고 누구에게나 개방하는 제도로 얼핏 보면 대단히 민주적인 제도인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당의 주인인 당원들의 당연한 권리인 투표권을 박탈당하거나 제한 당한다는 점에서 근본적으로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해 임채홍 대표는 “우리 학교 회장선거에 다른 학교 학생들에게 투표권을 부여하는 꼴”이라고 꼬집었다.

과거 참여정부 이전까지만 해도 여야 어느 정당을 막론하고, 당내 경선은 당원과 대의원들만 참여하는 현장투표로 이루어졌다. 모든 당원들은 그것을 지극히 당연한 걸로 여겼었고, 투표권 행사를 하는 데 대한 자부심이 상당했었다.

그런데 여야 각 정당이 ‘오픈프라이머리’를 경쟁적으로 도입하면서부터 당원과 대의원들의 투표권은 대폭 축소되고 말았다. 그로 인해 당원들은 소속 정당에 대한 애당심을 갖지 않게 됐으며, 당이 어려운 상황에 처하게 될 때 적극 지원하기보다는 등을 돌리고 외면하는 일이 발생하게 됐다. 자신의 투표권을 축소하거나 박탈해버리는 그런 당에 애착을 가질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현재 새정치민주연합의 정당 지지율이 바닥 수준을 면치 못하는 데에는 당원들의 외면도 톡톡히 한몫을 하고 있을 것이다.

따라서 여야 당 지도부, 특히 김문수 새누리당 보수혁신위원장과 원혜영 혁신실천위원장은 당 혁신 차원에서 이 문제를 심도 있게 다뤄야 한다는 판단이다.

‘오픈프라이머리’라는 이름으로 당원의 주권을 제약하는 반개혁적인 일이 반복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사실 ‘오픈프라이머리’는 일종의 인기투표로 인지도가 높은 현역들에게 일방적으로 유리한 제도로 결코 개혁적인 방안이라고 할 수 없다.

그런데도 기득권 세력은 너무나 견고한 것 같다.

임채홍 대표는 “평당원들의 소리에 당 지도부에서 귀를 기울이지 않고 있는 것 같아 힘들다”고 말했다.

물론 기득권의 틀을 깨는 것은 힘이 들고 어려운 싸움이 될 것이다. 그러나 새정치연합의 평당원들이 더 이상은 못 참겠다며 ‘혁명의 깃발’을 치켜 든 만큼 머지않아 좋은 결실을 맺게 될 것이란 믿음이 있다.

만일 여기에 새누리당 평당원들까지 가세해 힘을 모은다면, 새누리당과 새정치연합은 다시 당원이 주인이 되는 정상적인 모습을 찾게 될 것이다.

모쪼록 새정치연합 평당원들의 ‘당원 혁명’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하승 고하승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