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4.29 재보궐선거가 실시되는 4개 선거구 가운데 서울 관악을(乙)이 최대의 관심지역으로 꼽히고 있다. 국민모임의 출마권유를 받고 있는 정동영 전 의원의 출마여부가 최대 변수로 떠오른 탓이다.
당초 “출마하지 않겠다”며 완강한 입장을 보이던 정동영 전 의원도 이제는 출마를 고민하는 쪽으로 선회한 것 같다.
새정치민주연합의 정태호 후보가 26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동영 전 의원에게 “더 이상 시간 끌지 말고 출마여부를 빨리 결정하라”고 촉구한 것도 되레 정 전 의원의 출마 가능성에 무게를 싣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실제 정태호 후보는 “정동영 전 의원이 이미 탈당했지만 우리당에서 보면 큰 정치인이시다. 그러나 출마하신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우리당의 마지막 보루인 관악을은 술렁일 수밖에 없다. 이런 면에서 정동영에게 책임이 있다”고 포문을 열었다.
그러나 그는 ‘정동영이 출마해도 이길 수 있나?’라는 기자의 질문에 “당연하다. 여론조사 보면 정동영 주민들로부터 좋은 평가 받고 있지는 않다”고 자신감을 보였다.
그런데 그의 말과는 달리 아직 정 전 의원의 출마여부와 관련해 아무 것도 결정된 것이 없는데 긴급 기자회견까지 연 것을 보면 오히려 초조함이 엿보인다.
김세균 국민모임 상임위원장은 정동영 전 의원에게 출마를 권유하게 된 이유에 대해 "4·29 재·보궐 선거는 정계개편의 초석을 놓는 중요한 선거로 이번 선거를 놓쳐서는 안 된다는 판단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김 상임위원장은 전날 서울대생들이 만드는 월간지 '서울대저널' 주최로 관악캠퍼스 문화관에서 열린 '토크콘서트-국민모임편'에 참석, "특히 관악을은 정계개편의 출발점이 될 전략적 선거구"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어 그는 "야권뿐 아니라 여권 후보도 이길 수 있는 경쟁력 있는 후보를 내세우는 게 옳다고 판단했다"고 덧붙였다.
사실 그 자리에는 당초 정동영 전 의원도 함께 할 예정이었다고 한다. 그런데 당일 오전 급작스럽게 주최 측에 불참의사를 전했다고 한다. 현재까지도 정 전 의원은 베이징에서 귀국하지 않은 상황이다. 출마 쪽으로 상당히 마음이 기울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정 전 의원이 출마 쪽으로 가닥을 잡을 경우, 새누리당 오신환 후보, 새정치연합 정태호 후보와 함께 어깨를 나란히 하는 후보가 될 가능성이 높다.
이미 출마를 선언한 정의당 이동영 정책위 부의장이나 노동당 나성채 대표도 후보단일화를 명분으로 정동영 전 의원에게 힘을 실어 줄 것이고, 어쩌면 옛 통합진보당 이상규 전 의원도 그런 흐름에 동참할지도 모른다.
그렇게 되면 관악을 선거는 한치 앞도 분간하기 어려운 박빙의 승부가 펼쳐질 것이고, 결국 오신환, 정태호, 정동영 후보 모두 30% 안팎의 득표율을 보이게 될 것이다.
승자와 패자 간의 득표율 격차가 그리 크지 않다는 뜻이다. 물론 2등과 3등의 격차 역시 미미할 것이다.
물론 지금까지의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정동영 전 의원의 지지율이 그리 높지 않은 건 사실이다. 하지만 그것은 정 전 의원의 출마여부가 명확하지 않은 상황에서 더구나 본인이 “출마하지 않겠다”고 선을 긋는 상태에서 진행된 여론조사였다.
하지만 출마가 확정되면, 모든 상황이 변한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여론조사 결과와는 전혀 다른 결과가 나올 수밖에 없다.
지난 2012년 4·11 총선 당시에도 서울 관악을에서는 3자 대결구도가 이뤄졌다. 당시 오신환 새누리당 후보는 33.38%를 얻었고, 야권 단일 후보인 이상규 통합진보당 후보는 38.24%, 김희철 무소속 후보는 28.47%을 기록했다.
만일 정동영 전 의원이 출마한다면 이와 비슷한 상황이 벌어질 것이다.
오신환 후보는 이번에도 역시 35% 가량을 득표하게 될 것이다. 나머지 65%를 놓고 정태호-정동영 후보가 나눠 갖게 될 텐데, 양 측이 팽팽하면 오신환 후보가 승리하게 되는 것이고, 어느 한 쪽으로 힘의 균형이 이동하게 되면, 그쪽이 승리하게 되는 것이다.
정태호-정동영 두 후보 가운데 어느 한 사람이라도 20% 후반대의 지지율에 그친다면 그 상대방이 승리하게 된다는 뜻이다. 아무래도 이번 관악을 당선자의 득표율은 그가 누구든 37% 안팎이 될 것 같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