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새정치민주연합 김부겸 전 의원이 22일 의미심장한 발언을 했다.
김 전 의원은 이날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 “총선 이후에 대한민국의 새로운 그림을 그려야 한다. 그런 큰 움직임이 있을 것 같다”고 전망했다.
어찌 보면 그의 이 같은 발언은 특별할 것이 없을지도 모른다. 누구라도 예측 가능한 ‘정계개편 가능성’을 언급한 것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의 발언들을 ‘조각조각’모아보면 그렇게 단순하지가 않다.
우선 그는 내년 총선에서의 야권참패는 피할 수 없는 상황으로 보고 있다.
실제 김 전 의원은 ‘이대로 총선 치르면 패배 밖에 기다리는 게 없다고 생각하느냐’는 사회자의 질문에 “그렇다”고 분명하게 답변했다.
물론 김 전 의원은 참패를 모면할 수 있는 묘책을 제안하기는 했다. 하지만 그의 제안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일처럼 보인다.
왜냐하면 현재 당권을 거머쥐고 있는 문재인 대표의 기득권 포기를 기본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김 전 의원은 문 대표에게 “그냥 수습을 하려고 한다는 인상만 가지고 안 된다”면서 “이 위기 때에 뭔가 자신을 희생하는 모습, 이순신 장군의 리더십을 보여야 한다. 이순신 장군이 그렇게 억울해도 오로지 백성 하나만 믿고 자신을 던졌듯, 그런 리더십을 왜 못 보여 주느냐”고 질책했다.
그러면서 탈당파, 신당파는 물론 당내 비주류 안철수, 김한길 전 대표 등을 ‘큰 테이블’로 모두 불러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즉 문 대표가 기득권을 내려놓고, 당내 비주류는 물론 무소속 천정배 의원 등 신당 추진파들까지 모두 끌어안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정작 김 전 의원은 자신의 제안이 받아들여질 것으로 생각하는 것 같지는 않아 보인다.
그가 “기존의 정당틀을 넘어서는 새로운 정치적인 실험을 해 보자는 노력들이 총선 이후에 많이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한 것은 자신의 제안이 묵살되고, 그로 인해 야권이 총선에서 참패할 것이 불 보듯 빤하기 때문 아니겠는가.
그가 손학규 전 민주통합당 대표의 정계복귀 시점에 대해 ‘시기상조’론을 주장한 것도 이런 정치적 상황과 무관하지는 않을 것이다.
물론 김 전 의원은 손 전 대표의 정계복귀에 대해 이날 “그냥 ‘손학규, 당신 들어 오시오'라는 태도를 가지고는 어렵다”며 “야권에 참여하고 있는 여러 인물들이나 세력들이 ‘이대로는 정말 전략도 없고 위험하다. 그러니 손학규 전 대표께서도 힘을 좀 합쳐 달라’그만한 정도의 정성 어린 노력을 해야 된다”고 말한 것은 사실이다.
얼핏 들으면 손 전 대표의 정계복귀를 촉구하는 말처럼 들리지만 그것은 아니다.
현재 문재인 대표를 중심으로 하는 당내 친노 세력이 손 전 대표에게 찾아가 무릎 꿇고 도움을 청할 리 만무하기 때문이다.
이제 김 전 의원의 말을 조각조각 모아 퍼즐을 맞춰보자.
앞서 김 전 의원은 연합뉴스TV와의 인터뷰에서 “지금은 국민적으로 아까운 지도자로 남아있는 (손학규)를 덜 흔들어야 한다”며 “정말 야권이 어렵고 더 이상 절망적이어서 국민에 도리가 아닌 상황이 온다면 우리 모두를 위해 모시러 가야하지 않느냐”라고 말했다.
그리고 오늘은 내년 총선에서의 야권패배를 예견하는 동시에 총선 이후 “기존의 정당틀을 넘어서는 새로운 정치적인 실험을 해 보자는 노력들이 많이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게 무슨 뜻인가.
첫째, 지금은 손학규 전 대표가 나설 때가 아니다.
둘째, 문재인 대표가 기득권을 포기하지 않은 상태에서 치러지는 내년 총선에서 야권은 패배하게 될 것이다.
셋째, ‘새정치연합의 몰락’이라는 절망적인 상태에서 ‘새로운 정치적인 실험을 해 보자는 노력’, 즉 정계개편 움직임이 야권은 물론 여권 일각에서 봇물처럼 터져 나오게 될 것이다.
넷째, 그런 절망적인 상황이 오면, 정계개편에 동의하는 모든 세력들이 손 전 대표를 모시러 가야한다.
김부겸 전 의원의 이런 발언들을 한마디로 요약한다면 이런 게 아닐까?
“내년 총선 이후, 손학규 전 대표를 모셔 기존의 거대 양당 틀을 넘어서는 ‘새로운 정당’을 만들자!”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