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9대 대통령선거의 최대 변수는 아무래도 선거구도의 변화여부일 것 같다.
지금 현재 국회에는 5개의 원내정당이 있다. 이 가운데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 국민의당, 바른정당 등 원내교섭단체를 이루고 있는 4당은 대선 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이 한창 진행 중이다. 정의당에선 당초 출마가 예상됐던 노회찬 원내대표의 불출마로 일찌감치 심상정 의원을 후보로 최종확정한 상태다.
한마디로 원내 의석을 지닌 5개 정당 모두가 대통령 후보를 내기 위해 준비를 하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이들 정당의 모든 후보들이 출마해 막판까지 5자 구도가 그대로 이어질 가능성은 별로 없다.
각 당의 대선후보 확정을 전후해 현재 구도에 상당한 변화가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실제 전문가들은 이달 말 또는 내달 초, 즉 한국당(31일), 국민의당(4월4일), 바른정당(28일)의 당 대선후보 확정 이후에 본격적인 후보단일화나 연대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이 재결합하는 ‘보수 단일화’ 가능성과 함께 국민의당, 바른정당, 민주당 비문계 등 3대정파가 모이는 ‘중도 단일화’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는 상황이다.
왜 그런가. 먼저 민주당 내부부터 들여다보자.
민주당 경선의 경우 문재인 민주당 전 대표가 각종 여론조사에서 다른 주자들을 압도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안희정 충남지사나 이재명 성남시장 등 2,3위권 후보들의 역전승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이변이 없는 한 문재인 전 대표가 경선에서 무난히 승리할 것이고, 그로인해 문재인 대세론도 당분간 그대로 이어질 공산이 매우 크다는 말이다. 그럴 경우, 제왕적대통령제 폐해를 지적하며 분권형 개헌을 이루려던 각 당 개헌파들의 노력은 수포로 돌아갈 수밖에 없다. 문 전 대표가 낡은 6공화국체제 수호자로 나선 까닭이다.
구체제를 유지하려는 기득권 세력, 즉 친문패권세력에 맞서 싸우려면 몸피를 키워야 한다.
그래서 등장한 것이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의 ‘개혁연대론’이다.
하지만 국민의당에서 손 전 대표와 대선후보 자리를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안철수 전 대표가 이를 반대하고 있다.
실제 안 전 대표는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다른 당과 연대하는 일은 절대 없다고 선을 긋고 나섰다. 그러면서 자신이 후보가 되면 국민의당 독자적인 힘으로도 충분히 민주당 문재인 후보를 꺾을 수 있다고 자신감을 보이고 있다.
반면 손 전 대표는 “개혁은 혁명보다 어렵다. 선명한 개혁 비전과 확고한 의지를 갖추고, 개혁 세력을 폭넓게 결집시킬 수 있는 통합과 포용의 리더십이 필요하다”며 중도 대연합론을 주장하고 나섰다.
이어 “국민의당 의석이 39석인데 현실적으로 홀로 집권이 되겠냐”며 “개혁적, 합리적 보수와 함께 연립정권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즉 안철수 전 대표는 ‘국민의당’ 독자후보로도 대선승리가 충분하다는 입장인 반면, 손학규 전 대표는 ‘개혁세력 연대’로 확실한 승리를 이끌어 내야 한다는 상반된 입장을 보이고 있는 셈이다.
결국 이번 대선 판이 어떤 구도로 진행될지 여부는 전적으로 국민의당 경선 결과에 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만일 안철수 전 대표가 경선에서 승리한다면 안 전 대표는 ‘국민의당 독자후보’로 만족할 것이고, 그로인해 그동안 정치권 안팎에서 논의됐던 ‘중도대연합’도 물거품이 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반대로 손학규 전 대표가 승리할 경우, 국민의당은 단숨에 ‘제3지대’의 중심세력으로 자리매김할 것이고, 바른정당은 물론 민주당내 비문세력까지 빨아들이는 놀라운 흡인력을 발휘하게 될 것이다.
안철수가 이상론자라면, 손학규는 현실론자인 셈이다.
과연 ‘안철수의 이상론’과 ‘손학규의 현실론’ 가운데 어느 쪽을 선택해야 기득권을 지키려는 ‘호헌파’ 문재인을 꺾고, 국민주권이 강화되는 7공화국 시대를 열 수 있는 것일까?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