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66% “생리주기 변화”
여성환경연대 “규제 부족해”
![]() |
||
▲ 24일 오전 서울 중구 환경재단 레이첼카슨홀에서 여성환경연대가 '일회용 생리대 부작용 규명과 철저한 조사'를 위한 기자회견에서 참가자들이 현행 일회용 생리대 허가 기준뿐 아니라 각종 유해 화학물질 조사를 강화할 것을 촉구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사진제공=연합뉴스) |
여성환경연대는 24일 서울 중구 환경재단 레이첼카슨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은 내용의 사례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사례분석 결과는 지난 21일부터 사흘간 온라인을 통해 릴리안 생리대를 사용한 뒤 건강 이상을 제보한 여성 3009명이 참여했다고 여성환경연대는 설명했다.
여성환경연대에 따르면 제보한 여성 가운데 65.6%(1977명)가 생리주기에 변화가 있었다고 답했다. 주기가 1∼2개월 바뀌었다는 응답이 22.7%(684명)로 가장 많았고, 3개월 이상이 10.3%(311명), 6개월 이상은 12.3%(370명)였다.
또한 제보여성 70.7%(2126명)는 생리기간이 최대 5일 이하까지 줄었다고 답했고 일부(4.7%·141명)는 생리가 아예 끊어졌다고 답했다.
전체 제보자 중 85.8%(2582명)는 생리양이 줄었다고 답했고, 4.3%(128명)는 늘었다고 응답하는 등 생리양 변화도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생리주기나 생리양의 변화 뿐만 아니라 생리통을 비롯해 피부 질환, 염증 등으로 병원을 찾았다는 대답도 있었다.
응답자의 68.0%(2045명)가 전보다 생리통이 심해졌다고 답했고, 48.3%(1453명)는 피부질환이 생기거나 심해졌다고 밝혔다. 제품을 사용한 뒤 질염 등 여성 질환을 겪거나 증상이 심해졌느냐는 질문에는 55.8%(1680명)가 '그렇다'고 답했다.
아울러 제품을 쓰고 3년 이내에 월경이나 자궁 관련 질환으로 병원을 찾은 경우도 49.7%(1495명)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여성환경연대 측은 주무부처인 식품의약품안전처가 현행 일회용 생리대 허가 기준뿐 아니라 각종 유해 화학물질 조사를 강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앞서 이 단체는 강원대 생활환경연구실 김만구 교수 연구팀과 지난 3월 생리대 검사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이들이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국내 생리대 10종에서 유해물질 22종이 검출됐고, 이 중에는 휘발성 유기화합물도 있었다.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생리대를 속옷에 고정하는 접착제 부분에서 나오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제조사들은 유해물질 사용 자체를 부인하고 있다.
여성환경연대는 "현행법상 생리대 관련 규제는 폼알데하이드, 색소, 형광물질, 산·알칼리 규정뿐이므로 논란이 된 생리대 부작용의 원인을 규명하기는 턱없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각종 독성물질과 피부 알레르기 유발 물질·휘발성 유기화합물 등 모든 유해 화학물질을 전반적으로 조사하고 여성 건강을 보장할 대책을 마련하라"고 요구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