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국민, 누가 바른정당과 손잡나

고하승 / gohs@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7-09-03 11:37:2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편집국장 고하승



국민의당 의원 중에서 바른정당과 지방선거연대가 가능하다고 보는 의원이 절반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지어 통합까지 가능하다는 의원도 5명이나 됐다.

물론 “바른정당과는 정체성이 다르다”며 “정책연대도 불가하다”는 완강한 의원들도 있지만, 그런 의견은 소수에 불과했다.

바른정당에서도 내년 지방선거에서의 선거연대를 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높은 지지율을 기록 중인 집권당과 조직이 탄탄한 제1야당에 맞서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이 독자적으로 지방선거에 나설 경우 필패한다는 게 이유다.

실제 당 정책위의장을 지낸 이종구 의원은 "지금 국민의당과 우리는 정책적으로 크게 다를 게 없다"며 "지방선거 때는 서로가 연대하고 단일화를 모색해야 한다. 정치인이 지는 것을 알면서 가만히 있는 것은 무책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바른정당 소속 남경필 경기도지사 역시 "경기도에서 바른정당과 국민의당이 연대를 해 '국민바른연합'이라는 교섭단체를 만들었다"며 선거연대 가능성에 힘을 보탰다.

그런데 정작 국민의당에서 바른정당과 손을 잡기 위해 적극적인 정치행보를 보이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지난 8.27 전당대회에서 당 대표로 선출된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도 막상 대표로 선출되자 자신의 당내 입지를 굳히기 위해 '자강론'을 전면에 내세우는 모양새다.

반면 자유한국당은 바른정당과의 통합에 매우 적극적이다.

한국당 혁신위원회가 이번 주에 박근혜 전 대통령 출당문제를 매듭 짓겠다고 선언한 것 역시 바른정당 의원들에게 복귀 명분을 만들어주기 위한 것이다.

실제 이옥남 한국당 혁신위 대변인은 3일 “박 전 대통령 출당문제 등 인적청산은 오래 끌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라며 "이번 주에는 결론이 나올 것"이라고 밝혔다.

주호영 바른정당 원내대표는 최근 한국당이 박근혜 전 대통령을 출당시킬 경우 보수통합 논의가 가능하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사실 바른정당은 지금 최대의 위기에 직면해 있다.

이혜훈 대표가 한 사업가에게 현금과 명품가방 등 금품을 받았다는 의혹과 관련해 검찰이 이르면 내일 사건을 담당부서에 배당해 수사에 착수한다는 소식까지 나오고 있다.

이미 사업가 옥모씨는 2015년 10월부터 올해 3월까지 10여 차례에 걸쳐 이 대표에게 현금과 가방, 옷, 시계 등 6000여만원 상당의 금품을 제공했다고 주장하며 검찰에 이 대표의 금품수수 의혹을 밝혀달라는 진정을 제기한 상태다.

이에 따라 당 내 일각에선 이혜훈 대표가 일단 2선으로 물러나고 김무성, 유승민 의원이 전면에 나서는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가야 한다는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특히 이 대표에 대해선 검찰 수사까지 예고된 상황에서 이 대표 스스로 거취를 결정해야 한다는 목소리에 무게가 실리는 분위기다. 한마디로 이 대표가 자진사퇴해야 한다는 것이다.

바른정당 내 대표적 자강론자인 이혜훈 대표가 이처럼 금품수수 의혹에 휘말림에 따라 이제 ‘자강론’은 더 이상 힘을 받을 수 없게 됐다.

결국 당내에서 통합론이 탄력을 받게 될 텐데, 통합 대상으로 한국당을 선택하느냐, 아니면 국민의당을 선택하느냐 하는 갈림길에 서게 된 셈이다.

그런데 한국당은 박근혜 출당 등 적극적인 ‘러브콜’을 보내고 있는 반면, 국민의당은 여전히 대선패배의 주요 요인으로 꼽히는 ‘자강론’을 고집하고 있으니 문제다.

다만 그럼에도 한국당과 바른정당이 당장 통합수순을 밟지는 못할 것이다.

홍준표 한국당 대표가 당대당 통합이 아니라 바른정당 의원들을 개별적으로 받아들이는 흡수 통합을 추진하는 반면, 바른정당 의원들은 합당 형식을 기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바른정당 의원들은 통합전당대회에서 홍준표 대표를 꺾고 당권을 거머쥐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는데, 그걸 홍 대표가 용납할리 만무하다.

어쩌면 국민의당은 그런 점을 염두에 두고 바른정당과 손잡는 일에 인색한 것인지 모르겠다.

하지만 정치는 생물이다. 예상치 못한 변수로 ‘제3지대 통합’의 기회를 놓쳐버릴 수도 있다.

그것은 결국 과거 양당체제로의 복귀를 의미하는 것으로, 안철수 대표는 다당제를 유지하지 못한 책임을 져야 할지도 모른다. 지금은 안 전 대표의 보다 적극적인 ‘중도통합’ 의지가 절실한 때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하승 고하승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