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더불어민주당이 국민의당을 향해 끊임없이 구애의 손짓을 보내는 반면, 국민의당은 오히려 바른정당에게 손을 내미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실제 국민의당은 민주당 일각에서 제기되는 연정론에 대해선 ‘장난 질’로 치부하며 선을 긋고 있다. 심지어 안 대표는 문재인 대통령의 헌법재판소장 대행 체제 유지 입장에 대해 “어안이 벙벙하다”고 꼬집는 등 확실한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반면 분당위기에 처한 바른정당에 대해선 우호적이다.
국민의당 관계자는 17일 “다당제 유지를 위해선 바른정당의 붕괴를 마냥 바라보기만 해서는 안 된다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고, 안철수 대표는 바른정당과의 연대 방법론을 놓고 고민을 거듭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김동철 국민의당 원내대표도 “자유한국당으로 돌아가지 않고 남아있는 바른정당의 용기 있는 분들과 함께해 온건·합리 중도세력의 불씨를 살려 나가야 한다”며 “정책 연대를 강화하는 것은 물론 새로운 교섭단체를 공동으로 구성하는 방법도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국민의당 색을 줄이고 양당의 이름을 함께 포함하는 등 새 교섭단체를 만드는 건 정치적으로 의미가 있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그러나 호남 민심이 여전히 바른정당과의 연대에 부정적이라는 게 문제다.
이에 대해 원내 대변인을 맡고 있는 김경진 의원은 “이미 당원 다수가 바른정당과 연대를 긍정적으로 보는 데다 한국당 중심의 보수 대통합이 시작되면 호남에서도 바른정당 연대에 대한 부정적 기류가 크게 완화될 것”이라며 “우리나라 정치가 극단으로 향해선 안 된다는 위기의식이 작동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정말 김 의원이 예상하는 것처럼 호남민심이 바른정당과의 연대를 지지하게 될지는 잘 모르겠다.
다만 바른정당 통합파와 자강파가 보수대통합 여부를 두고 충돌하고 있기 때문에 머지않아 바른정당이 정계개편의 근원지가 될 것이란 점은 분명해 보인다.
이것은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있는 국민의당에게는 최고의 악재다.
만일 바른정당 의원 대부분이 자유한국당으로 돌아가 ‘보수통합’을 이룰 경우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과정에서 흩어졌던 보수층이 결집하게 될 것이고, 이에 위기의식을 느낀 진보층이 민주당을 중심으로 ‘똘똘’ 뭉치게 되면 국민의당은 당장 설 땅을 잃게 되는 것이다. 사실상의 패권 양당체제로 다시 돌아가게 되는 셈이다.
따라서 국민의당으로선 어떤 방식이든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어쩌면 그 돌파구가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묘안이 될지도 모른다.
그 돌파구란 바로 ‘중도 재편’이다. 즉 둘로 쪼개진 ‘제3지대 정당’을 하나로 묶어내야 한다는 말이다. 그러자면 국민의당은 반드시 바른정당 자강파와 함께 해야 한다.
만일 바른정당 자강파와의 연대 및 통합을 발판으로 중도진영의 재편을 이룬다면 선거구도는 26.7%의 비례대표 선거 득표율을 기록했던 지난 20대 총선과 비슷해진다. 국민의당에게 가장 바람직한 3당 체제로 선거구도가 형성되는 것이다.
비록 지금 국민의당 지지율이 형편없이 낮기는 하지만, 집권당과 제1야당이 적대적 공생관계를 유지하는 패권양당체제에 거부감을 느끼는 유권자들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그들의 지지를 다시 이끌어 낼 수만 있다면 내년 지방선거가 그리 비관적인 것만은 아닐 것이다.
다만 바른정당 자강파가 통합파에 비해 그 수가 현저하게 적다면 연대 의미가 반감된다는 게 문제다.
현재 통합파는 김무성 의원을 비롯해 10명 정도이이지만 ‘무조건 통합파’로 분류되는 의원들은 김 의원을 비롯해 김영우·김용태·정양석·황영철 의원 등 모두 합해야 5명에 불과하다.
나머지 5명 정도는 명분이 만들어져야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반면 자강파는 유승민 이혜훈 지상욱 하태경 의원 등 9명이다. 정운천 의원은 국민의당과의 통합을 희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바른정당 의원들을 끌어들이는 경쟁에서 국민의당은 결코 한국당에 밀리는 상황은 아니다.
그럼에도 이를 성공적으로 이뤄내지 못한다면 안철수 대표의 리더십은 크게 흔들릴 것이고, 내년 지방선거 이후 국민의당은 존재감은 더욱 미약해져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질지도 모른다.
그건 결과적으로 다당제의 종말을 고하는 것으로 있어서는 안 될 일이다. 지금은 안철수 대표의 통합 리더십이 절실한 시점이다. 그런데 과연 자신의 것을 내려놓는데 익숙하지 못한 안 대표가 그런 리더십을 발휘 할 수 있을지 걱정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