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미래당, 당 재정 상태 심각..구조조정 불가피

이영란 기자 / joy@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8-07-31 12:40:08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8억 보조금 중 6억이 인건비...재계약 불가, 차별아냐"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바른미래당 당무혁신특별위원회가 최근 계약직 당직자의 계약 연장 및 재계약 불가 방침을 정한 구조조정 로드맵을 발표한 가운데 구조조정 1순위로 떠오른 계약직 당직자들이 대부분 바른정당 출신인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다.

31일 당 관계자는 “당 인사위원회가 조만간 전체 215명 당직자 중 계약직 75명과 추가 구조조정을 위한 작업에 착수할 예정”이라며 “이중 바른정당 출신 계약직 당직자 25명의 계약기간이 오는 8월 31일 만료되면서 '바른정당 출신에 불리한 구조조정안'이라는 논란이 제기되고 있는 것 같다"고 밝혔다.

그러나 그는 "옛 국민의당 출신 계약직은 50명으로 그들 역시 구조조정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국민의당 출신 계약직 중에서도 지난 6월 말로 계약기간이 끝난 사람은 이미 퇴사처리 됐고 50명 정도는 구조조정을 앞두고 있는 상황"이라며 "출신 간 유불리를 고려한 기준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실제 계약만료를 앞두고 있는 바른정당 출신 당직자들은 최근 김동철 비대위원장과의 면담에서 "아무런 소통과정 없이 '일방통보'를 받았다"고 반발하면서 "변칙적으로 계약을 연장하는 등 출신 정당에 따라 다른 기준으로 차별하는 게 아니냐"며 의혹을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이들은 바른정당 출신 시도당 사무처 당직자 일동 명의로 전날 당 비대위에 제출한 건의서를 통해 "구조조정 방안에 대한 재논의를 위해 당무혁신위 안을 거부해 달라"고 촉구하기도 했다.

이들은 해당 건의서에서 "계약직이기 때문에 구조조정의 1순위가 되며, 계약기간만 지킨다면 어떠한 절차도 없이 계약이 종료될 수 있다는 것이 우리나라의 법이라는 것은 충분히 알고 있다"면서도 "계약종료의 사실을 기사로 통보받도록 한다는 것은 바른미래당이 우리 당직자들에 대해 조금도 배려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한편 바른당은 매달 정당보조금 8억 원 가운데 인건비로만 6억 원이 소요되는 등 심각한 재정난에 시달리는 당 상황을 고려, 오는 9월 2일 전대 전까지 구조조정을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대해 오신환 당무혁신특위위원장은 "불가피한 결정"이라고 밝혔고, 이태규 사무총장 역시 "해고를 최소화하기 위해선 계약직 당직자의 정리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