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7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오는 18~20일 평양에서 열리는 남북정상회담을 전후로 시민홍보, 시민참여 프로그램 운영, 내외신 기자 취재 등 지원 행사를 실시해 서울 전역에 평화회담소식을 알리기로 했다.
실제 서울도서관엔 대형 현수막을 걸고 25개 자치구 청사 외벽엔 대형 한반도기를 설치하고 서울로7017 옆 서울스퀘어 미디어파사드엔 한반도기·비둘기, 악수하는 이미지가 어우러진 영상을 노출하고 세종문화회관 중앙계단은 통일희망 메시지로 랩핑된다. 세종대로 등 주요 도로변에도 한반도기가 내걸릴 예정이다.
또한 서울시가 운영하는 3만3000개 영상게시판에도 남북정상회담의 성공 기원 문구를 올리고, 산하 46개 사이트에는 배너를 띄운다. 회담 이후 1개월 동안 지하철역사 57개 광고판엔 남북정상의 악수모습이 담긴다. 또 정상회담 성공 개최를 지원하는 차량 스티커를 제작하고, 자치구 민원실 및 동주민센터 등에 배포해 시민이 자율적으로 회담 축하 분위기에 동참토록 지원한다.
뿐만 아니라 실시간 생중계를 위한 대형 LED 스크린은 지난 4월 제1차 남북정상회담 당시 설치한 서울광장은 물론 광화문광장 남측,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도 추가 설치한다.
서울광장 남측 화단 인근엔 꽃과 식물로 한반도기를 형상화하며, 지난번 마가렛 꽃에 이어 이번엔 아스타꽃과 회양목도 심고 ‘남북정상회담 성공을 기원합니다’ 문구도 새긴다. 한반도 퍼즐 맞추기, 평화상상 모자이크, 사진전, 한반도, 우리동물 찾기 등 시민 참여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운영된다.
광화문광장 이순신동상 앞엔 문화체육관광부 주관으로 지난 판문점 남북정상회담 때 양 정상이 산책하며 대화를 나눠 화재를 모았던 ‘도보다리’가 재현되기도 한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서울시가 보유한 다양한 수단과 시민 참여 프로그램을 통해 서울 전역에 평화 분위기를 확산하고 1000만 서울 시민과 함께 남북정상회담 성공 개최를 기원하려 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비핵화 등 한반도 문제의 엄중한 현실을 감안할 때 지자체가 흥분해서 앞장설 상황은 아니라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지방정부가 중앙정부의 행사에 이처럼 많은 예산과 행정력을 동원해 홍보에 매진하는 건 드문 일이어서 서울시정이 박원순 시장의 정치도구로 이용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인터넷 공간을 중심으로 “마음은 콩밭에 가 있는 이자를 탄핵하라” “모르고 뽑았나? 뽑은 대가”라고 한탄하는 댓글 등 박시장 시정에 대한 불만이 이어지는 형국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로컬거버넌스] 서울 성동구, ‘주거정책 포럼’ 개최](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06/p1160278518713968_660_h2.jpg)
![[로컬거버넌스] 경남 합천군, 농업 체질 개선 전방위 추진](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05/p1160278371910081_824_h2.jpg)
![[로컬거버넌스] 경기 수원시, 1인가구 지원사업 선도모델 제시](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04/p1160279219128288_343_h2.jpg)
![[로컬거버넌스] 서울 강서구, 민선8기 2주년 구정 성과공유회](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03/p1160278441427235_442_h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