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美 경고 무시하고 '경협' 서두르지만 실행 여부는 미지수

이영란 기자 / joy@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8-10-16 10:23:28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리선권 “연말까지 분투하길”...조명균 “말씀주신대로 이행”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대북 제재의 철저이행을 강조하는 미국의 경고에도 남북은 15일, 10월 말 철도공동조사 재추진에 이어 11월 말~12월 초 철도·도로 연결과 현대화를 위한 착공식에 합의하는 등 발빠른 행보에 나서는 모습이다.

이날 회담 종결 회의에서 북측 대표 단장인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장은 우리 측 수석대표인 조명균 통일부 장관에게 "현재까지 잘해온 것처럼 연말까지 분투하길 기대한다"고 당부했고, 조 장관은 "말씀 주신 대로 역지사지하면서 문제 풀어간다면 어떤 문제가 발생해도 평양 공동선언을 철저하게 이행해나갈 수 있다"고 호응했다.

조 장관은 회담 직후 기자들과 만나 “경의선은 (이르면) 다음 주 시작될 것”이라며 “철도 공동조사를 위한 철도 차량이 올라가서 신의주까지 조사하고 북측 내에서 다시 동해 쪽으로 넘어가서 금강산부터 함경북도까지 조사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별개로 남북이 서해경제, 동해관광 공동특구에 대한 공동연구 착수에도 뜻을 모으면서 개성공단과 금강산관광 등의 재개와 관련된 사전 논의가 시작된 게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하지만 미국은 여전히 비핵화 조치가 아직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선 남북 공동조사 시기를 늦춰야 한다는 입장이어서 남북경협이 실제 진행될 수 있을 지는 미지수다.

앞서 지난 8월에도 유엔군사령부의 불허로 경의선 북측 구간에 대한 철도 공동조사가 무산된 전례가 있다.

한편 연내 추가 이산가족상봉을 위해 오는 11월 금강산에서 이산가족 면회소 복구·상시 운영과 화상상봉, 영상편지 교환 등을 주요 의제로 한 남북 적십자회담이 열릴 예정이다.

정부는 이번 고위급회담에서 2008년 박왕자 씨 피살 사건 이후 북측이 몰수한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에 대해 “몰수 조치 해제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