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원책-김병준 불협화음에 한국당 지도부 난감

이영란 기자 / joy@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8-10-30 16:20:56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보수통합-인적쇄신-지도체제 등 사사건건 갈등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자유한국당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과 전원책 조직강화특별위원이 불협화음을 내면서 당초 인적청산 과정의 '차도살인' 목적으로 이들을 영입했던 당 지도부가 난감해졌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 당 관계자는 이날 "김용태 사무총장 등 당 지도부가 우파 정체성이 모호한 김병준 전 국민대 교수를 비대위원장으로 영입한 것은 인적쇄신을 명분으로 한 인적청산에 필요했기 때문"이라며 "이를 김 비대위원장이 다시 전원책 변호사에게 떠넘기면서 급기야 권역다툼으로까지 이어지게 돼 불화를 빚고 있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그러면서 "이 때문에 이들을 영입한 당 지도부는 혹 떼려다 혹 붙인 격으로 난감해진 상황"이라고 밝혔다.

실제 김병준 위원장은 30일 발행된 시사저널과의 인터뷰에서 “전 원책 위원의 말이 당의 무조건적인 입장은 아니다”라고 선을 그으면서 제동을 걸고 나섰다.

그는 전날 비대위 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도 '조강특위와 비대위 간 갈등' 여부를 묻는 질문에 "갈등할 관계가 아니다"라고 일축하면서도 전 원책 위원의 '전권' 범위와 관련해서는 "정확한 표현은 ‘전례 없는 권한’이었다. 조강특위에 관해선 여전히 같은 생각이다"이라고 밝혀 조강특위 운영에 관해서만 '전례 없는 권한'이 적용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그동안 전 위원은 "'통합전당대회' 실시를 조건으로 조강특위 위원 제안을 받아들였다"며 "내년 2월말 예정된 한국당 전당대회에 범보수인사는 물론 태극기 세력까지 참여시켜야 한다"고 밝혀, 김 비대위원장과 미묘한 시각차를 보여 왔다.

실제 전 위원은 "보수인데 당 밖에 나가 있는 분들이 많다. 이 분들이 전당대회 할 때는 다 들어오라는 얘기"라며 "지금 조강특위에서 당협을 결정하고 있기 때문에 밖에 있는 분들이 다 들어와서 한 배를 타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김 위원장은 "문재인 정부 상대로 네트워크를 넓게 형성해 공동대응하자는 점에서 통합이지 모두 한 그릇에 담는다는 게 아니다"라며 "이런 게 오해가 되니깐 어떤 쪽에서 '비빔밥이니 쓰레기'니 하는 얘기가 나온다"고 지적했다.

급기야는 "학자 내지 변호사로 피력하는 게 있고 조강특위 위원으로 피력하는 부분이 구분이 잘 안되어 있어 혼란이 많은 것 같다"며 전 위원을 나무라는 모습까지 보였다.

인적쇄신 문제를 놓고도 둘 사이의 의견이 통일되지 않은 양상이다.

전 위원은 최근 한 방송과의 통화에서 "선거에서 패배했던 김무성, 홍준표 전 대표와 박근혜 전 대통령과 함께 호흡했던 황교안 전 총리, 박 전 대통령과 척을 지고 분열했던 유승민 의원 등은 전당대회 불출마를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김 위원장은 전 위원에 대해 "권한 밖에 이야기를 하고 있다"며 불만을 표출하면서 이견을 드러냈다.

이에 전 위원은 "일단 맡겨놨으면 일을 하게 해야지 옆에서 '감놔라 대추 놔라' 개입을 하면 일을 못한다"고 반발하면서 김 위원장과의 갈등설에 불을 지폈다.

지도체제 문제와 관련해서도 비대위는 현행 당대표가 전권을 갖는 단일성 집단지도체제에서 당대표-최고위원이 합의하는 집단지도체제를 검토 중인 반면 전 위원은 현 단일체제 유지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런 가운데 한국당 조강특위는 이르면 이번 주 현지실사 태스크포스(TF)인력 인사를 단행하고 교육 후 오후전국 253개 당협 중 사고당협을 제외한 236곳에 대한 실태조사에 착수할 예정이어서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