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당, 당협위원장 교체, 복당파 중심? 당 내홍 불가피

이영란 기자 / joy@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8-11-22 09:00:0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진박' 연루자, 영남 다선 겨냥....탄핵 복당파는 면죄부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전국 253개 당협위원장의 적격 여부를 평가 중인 자유한국당이 19일 조직강화특별위원회 전체회의를 열고, 본격 심사에 들어간 가운데 2016년 총선 당시 이른바 '진박 공천 파문' 책임자와 영남 다선 의원, 계파 갈등의 핵심 인물 등을 우선 쇄신 대상으로 삼는다는 당협 심사 기준을 확정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예상된다.

반면 지난 탄핵 정국에서 탄핵에 동조하고 탈당했다 돌아온 이들에 대해서는 일방적인 면죄부를 교부, 형평성 논란이 제기되면서 당 내홍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이번 당협위원장 교체작업은 오는 2020년 21대 총선 공천과 직결된 물갈이 신호탄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결과에 예민해질 수 밖에 없다.

조강특위는 우선 박근혜정부 시절인 2016년 총선 공천에서 이른바 '진박(진짜 친박근혜) 공천' 행사에 연루됐거나 이를 통해 공천을 받은 인물들을 솎아낸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0대 총선을 앞두고 한국당의 전신인 새누리당에서는 영남권을 중심으로 장관과 청와대 수석을 지낸 소위 '진박 후보'를 낙하산 공천하려는 움직임이 이어졌고, 당시 김무성 대표가 공천장에 직인을 찍지 않는 '옥새파문'으로 연결돼 극한 갈등을 빚은 바 있다.

특히 '공천이 곧 당선'으로 여겨지는 전통 텃밭 영남 지역에 참신한 신인 정치인을 우선 배치, 세대교체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이 경우 지역 정치에 매몰된 고령 다선은 자연스럽게 물갈이 대상에 포함될 전망이다.

또한 우파 정당으로서 정체성을 뚜렷하게 하기 위해 자유시장경제나 안보관에서 당 이념과 맞지 않는 입법안을 내거나 발언한 의원들도 인적청산 대상에 포함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당 안팎에서는 벌써부터 텃밭인 대구·경북(TK)을 포함해 10명 안팎의 현역의원 이름이 거론되고 있다.

하지만 교체 대상인 현역 의원을 대신할 새 당협위원장 후보 영입 문제가 변수라는 지적이다.
한국당은 6·13 지방선거 패배 이후 비상대책위원장과 조강특위 외부위원 인선에서도 구인난을 겪었다.

인재 영입이 난항에 부닥칠 경우 당초 예상보다 인적 쇄신 폭이 좁아질 수밖에 없다.

또 특정 계파만 교체될 경우 계파 갈등이 폭발할 가능성이 높다.

실제 당내 일각에선 “평가의 공정성과 신뢰성을 담보할 잣대를 마련할 수 있겠느냐. 친박만 겨냥하는 거 아니냐”는 말이 벌써부터 나오고 있다.

그러나 김용태 한국당 사무총장 겸 조직강화특별위원장은 “당 분열의 시작점이자 당이 서서히 기울게 만든 2016년 총선 공천 과정을 정확하게 살피고 핵심 관여자를 상세히 가려내겠다”며 “당이 사당(私黨)이 되도록 앞장서고 최순실 국정 농단을 방치하고 조장했던 분들, 유능하고 참신한 신인 발굴을 위해서라도 정치 지형상 우리에게 유리한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존재감과 활동이 미미한 사람을 가려내겠다”고 사실상 ‘친박’,‘영남’ 물갈이 의지를 피력했다.

조강특위 관계자도 “총선 당시 진박, 골박(골수 친박)이란 말이 나오면서 참담할 정도로 공천 투명성이 훼손됐고 국민적 실망을 안겨 줬다”며 “이에 연루된 당협위원장 상당수가 교체될 수 있다”고 가세했다.

그러나 한 한국당 관계자는 "대통령 탄핵에 동조하고 당을 떠났다 돌아온 이들에게 일방적으로 면죄부를 주겠다는 건데 명분 없는 일"이라며 "주객이 전도됐다"고 반발했다.

특히 "이들이 또 다시 좌파 정당의 도우미 되기를 자처한다면 대대손손 부끄러운 이름으로 역사의 단죄를 받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