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코로나 허위정보 무관용 원칙 엄정대응” 경고

여영준 기자 / yyj@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0-12-21 10:42:02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백신 2월부터 접종하고 싶지만 언제 공급될지는 몰라”

[시민일보 = 여영준 기자] 정세균 국무총리가 21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관련 허위조작정보 생산 및 유포행위에 무관용 원칙으로 법에 따라 엄정 대응하겠다"고 경고했다.


정 총리는 이날 서울시청에서 주재한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코로나19 위기가 계속되는 상황에서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확정', '생필품 사재기 조짐' 등 허위조작정보가 다시 기승을 부리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이러한 허위조작정보 유포행위는 불신과 혼란을 조장하고 방역 역량을 저해하는 사회악에 해당한다"며 "방통위, 경찰청 등은 이런 위법행위를 끝까지 추적해 엄벌하라"고 지시했다.


그러면서 "거리두기 단계 조정은 치밀하게 준비하되 마지막 카드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민심이 이렇듯 흉흉해진 것은 정부의 잘못된 대응 탓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전 총리는 전날 KBS 일요진단에 출연해 ‘화이자·얀센·모더나 등의 백신을 1·4분기에 접종할 가능성이 있느냐’는 질문에 “해당 업체들과 계약이 임박했으나 1·4분기 공급 약속을 받은 것은 없다”고 답했다. 


정 총리는 정부가 계약을 확정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에 대해 “이르면 내년 2월 늦어도 3월에는 접종이 시작된다”면서도 1·4분기에 도입될 ‘물량’과 ‘정확한 시기’를 특정하지는 못했다. 그러면서 “정부로서는 2월부터 접종하고 싶지만 언제 공급될지는 약속돼 있지 않다”고 밝혔다. 


그는 글로벌 백신 확보 경쟁에서 뒤처진 이유에 대해 “지난 7월 확진자가 100명 수준이어서 백신에 대한 의존도를 높일 생각을 하지 않은 측면이 있다”고 밝혔다. 


정부가 백신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검증하는 데 신중을 기했다고는 하나 이른바 ‘K방역’에 지나치게 의존해 중장기 대책 마련에 소홀했음을 에둘러 시인함 셈이다. 


‘백신 늑장대응’에 대한 비판 여론이 거세지자 정세균 국무총리까지 직접 방송에 출연해 경위를 설명했지만 이미 지칠 대로 지친 민심을 달래기에는 역부족인 모양새다. 오히려 정 총리가 “확진자가 100명대인 7월에는 백신 의존도를 높일 생각을 안 한 측면이 있다”고 말한 데서 우리 정부의 K-방역에 대한 지나친 ‘자만’이 그래도 드러났다는 해석이 나온다.


특히 지난 8일 정부가 수도권의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2.5단계로 올렸지만 신규 확진자 수가 연일 최다 기록을 경신하면서 정부의 안일한 대응을 둘러싼 논란은 더욱 커지고 있다. 코로나19에 신속하게 대응하던 우리 정부가 어느 순간 백신 확보부터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 병상 인프라 확충까지 줄줄이 늦장 대응하는 모습에 국민은 불안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한 네티즌은 “백신조차 확보하지 못했으니 이런저런 유언비어가 나오는 것 아니냐”며 “엄정대응하겠다고 말하기 전에 정부가 모든 걸 투명하게 공개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