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부인 김건희씨 ‘허위이력’ 논란

여영준 기자 / yyj@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1-08-22 11:14:01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윤 측 “‘한림성심대’를 ‘한림대’로 단순 오기… 허위 경력은 아냐”
강민정 “남의 행위는 범죄, 자신의 행위는 실수… 이게 공정이냐”

[시민일보 = 여영준 기자] 국민의힘 대선 경선 예비후보인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부인 김건희(개명 전 김명신)씨가 과거 이력서에 ‘대학 강사’로 재직한 이력을 허위로 기재했다는 의혹에 휩싸였다.


윤 전 총장 측은 대학 이름이 비슷해 잘못 적은 ‘단순 오기’ 였을 뿐이라고 해명했으나 강민정 열린민주당 의원은 22일 "남의 행위는 범죄라 우기면서 자신의 행위는 실수라 주장하는 것이 윤석열씨가 말하는 '상식'과 '공정'인가"라고 따졌다.


앞서 오마이뉴스는 지난 20일 국회 교육위 소속 강민정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김건희씨의 (강사) 재직 기간과 수업 정보’ 문서를 입수했다며 김씨의 허위 경력 기재 의혹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김씨는 지난 2004년 초 S대에 제출한 이력서 경력란에 “현재 : H대학교, A대학교 출강(컴퓨터, 디자인실기, 미술사, 회화실기)”이라고 기재했다.


하지만 교육부는 “H대는 김명신(김건희) 교수의 재직 이력이 없다고 회신했다”고 전했다.


김씨는 해당 이력서를 내고 S대에서 2004년부터 2006년까지 색채학, 인간공학 등 강의했는데, H대가 김씨의 강의 경력은 없다고 회신하면서 ‘허위 경력’ 의혹이 불거진 것이다.


강 의원실에 따르면 H대는 ‘한림대학교’, S대는 ‘서일대학교’를 지칭한다.


보도가 나온 후 윤 전 총장 국민캠프 측은 김씨가 당시 이력서에 비슷한 학교 이름을 잘못 적은 ‘단순 오기’ 실수를 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김씨가 강의한 곳은 ‘한림대’가 아니라 ‘한림성심대’라는 것이다.


캠프 관계자는 전날 한 언론을 통해 “김씨가 학교 이름을 잘못 적은 것은 단순 실수”라며 “경력증명서까지 내야 하는데 고의로 허위 경력을 적을 이유가 있는가”라고 반문했다.


특히 윤 전 총장 캠프 측은 ‘허위 경력’ 의혹을 처음 보도한 언론사의 사과가 없을 시 법적조치를 하겠다고 경고했다.


윤 전 총장 캠프 법률팀도 같은 날 페이스북을 통해 ‘명백한 오보’라고 반박했다.


법률팀은 “김건희씨는 시간강사 등 출강 과정에서 ‘허위 경력증명’을 활용한 사실이 전혀 없다”고 했다.


이어 “기사에 나온 H 대학은 한림성심대학교다. 김건희씨는 2001년 3월2일부터 2004년 8월22일까지 5학기 동안 색채표현기법, 디자인개론, 그래픽실습 Ⅰ·Ⅱ 과목을 가르쳤다”며 경력증명서도 공개했다.


그러면서 “서일대학교에서 시간강사로 일하면서 허위 경력을 사용한 사실이 없으므로, 오마이뉴스는 기사를 내리고 사과해주길 바란다. 적절한 후속 조치가 없을 경우 법적 책임을 물을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이에 감민정 의원은 이날 지산의 페이스북에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경선 후보가 '억지 주장'을 펼치며 언론을 겁박하고 있다고 맹비난했다.


국회 교육위 소속인 강 의원은 "저희 의원실발 자료를 근거로 '윤 후보의 부인 김건희씨가 2004년 한 대학 강사채용에 응모하면서 한림정보산업대(현 한림성심대)에 출강한 것을 한림대 출강이라며 허위 사실을 기재했다'라는 보도가 나왔다"고 전했다.


이어 "문제의 서류 제출 당시 김건희씨는 과거 경력이 아니라 '현재' 경력으로 한림대 출강이라 기재했다"며 "3년 이상 한림정보산업대에 출강하고 있었으면서 자신이 일하고 있는 학교명을 잘못 쓰는 일을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 상식적으로 얼마나 될까"라는 말로 이는 단순 오기가 아니라고 지적했다.


강 의원은 "그럼에도 윤석열 측은 해당 내용을 보도한 언론사에 사과를 요구하는 적반하장 태도를 취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강 의원은 또 페이스북 아른 글에선 김건희씨가 허위이력을 기재했다는 점을 다시한번 부각시키면서 이러한 김건희씨의 행동은 "학교 서열평가의 전형적인 내면화 사례다"고 주장했다.


강 의원은 의식했든 무의식의 발로였든 '학교간 서열차'를 인식한 행위라고 판단했다.


그러면서 "학교 유형을 가지고 학교 수준을 평가하는 듯한 우를 범하는 것을 경계해야 하며 해당 학교에 다녔거나 다니고 있는 학생들이 폄하되는 것은 옳지 않고 피해야 할 일"이라며 "극단적 대학 서열화야말로 극복해야 할 교육개혁의 핵심 과제"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