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친문진영 ‘제3 대선주자’ 찾기 본격화 하나

이영란 기자 / joy@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1-01-28 12:30:28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이낙연 추락에도 이재명은 30% 장벽 못 넘자 대안 요구 분출
정세균 추미애 임종석 김부겸 이광재 김두관 유시민 등 물망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이재명 경기지사와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양강 구도로 진행됐던 여권의 차기 대선 구도가 흔들리면서 당내 친문 진영을 중심으로 ‘제3 주자’에 대한 요구가 커지는 모양새다.


이 대표의 지지율 하락에도 각종 여론조사에서 여전히 30%대 벽을 넘지 못하는 이 재명 지사의 현실도 이 같은 상황과 무관하지 않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민주당 재선 의원은 "제3 후보가 커나갈 ‘블루오션’이 충분히 남아 있다”며 “아직 ‘친문’은 무주공산”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는 이 지사가 평소 관계가 서먹했던 친문진영과 관계를 제대로 정리하지 못한 탓" 이라며 "이 지사에게 순순히 차기 대권을 넘겨주지 않겠다는 정서가 아직 강하다"고 당내 분위기를 전했다.


실제 최근들어 여권의 제3 주자를 묻는 여론조사가 등장하기도 했다.


현재 여권 잠룡 가운데서 친문 진영의 지지를 이끌어내기에 적합하다는 평가로 주목 받는 인사는 정세균 국무총리다.


정 총리는 최근 자영업자 손실보상제 도입을 지시했고,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5일 “재정이 감당할 수 있는 범위에서 손실보상을 제도화할 방안을 검토해달라”고 힘을 실어주기도 했다.


지난 달엔 정 총리가 추미애 법무부 장관의 빠른 교체를 건의하자 문 대통령이 즉각 수용하는 모습도 있었다.


정 총리 측근 그룹의 보폭도 커지고 있다.


지난 달 25일 이른바 ‘SK계(정세균계)’ 의원 모임인 광화문 포럼이 열린 행사장엔 국회의원 40여명이 온·오프라인으로 참석했다. 또한 정 총리의 지지자들은 ‘우리가 정세균입니다’라는 제목의 ‘우정(友丁)’ SNS 페이지도 만들어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은 임기 중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출범을 완수했다는 이유로 친문 성향의 당원들로부터 전폭적인 지지를 받고 있다.


민주당의 한 당직자는 “윤석열 검찰총장과의 갈등 국면에서 권리당원의 지지세가 눈에 보일 정도로 커졌다”며 “본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제3후보군으로 거론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추·윤 갈등’ 과정에 강경 이미지를 얻으며, TK(대구·경북) 출신의 확장성이 외려 무색해졌다는 평가도 나온다.


2019년 11월 “앞으로의 시간은 다시 통일 운동에 매진하고 싶다”며 정계 은퇴를 선언했던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도 최근 정치적 현안에 대해 목소리를 내는 등 사실상 제 3후보로 활동하는 모양새다.


앞서 임 전 실장은 지난 22일 코로나19 재난지원금 논란에 대해 “고통과 피해가 큰 곳에 더 빨리 더 과감하게 더 두텁게 지원하는 것이 더 긴요하고 더 공정하고 더 정의롭다”며 이재명 지사를 에둘러 비판하기도 했다.


임 전 실장에 대해 당내에선 “586과 친문을 한데 묶는 역할을 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임 전 실장 본인이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전대협) 3기 의장 출신에, 문재인 대통령의 초대 비서실장이라는 상징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호남(전남 장흥) 출신에 이념적 색채가 강해 대선 본선을 놓고 보면 기존 후보들보다 나은 점이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난해 8·29 전당대회 패배 후 자성의 시간을 갖던 김부겸 전 행정안전부 장관도 최근 외부 활동을 재개했다. 김 전 장관은 문재인 정부 초대 행정안전부 장관을 지내면서 비주류 색채가 옅어졌다는 평가를 받는다. 지난해 전당대회 때도 강도 높은 검찰개혁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친문 권리당원들의 지지를 호소했다. 김 전 장관 측 인사는 “TK 출신이라는 확장성은 확실한 강점이다. 여야 지지율이 박빙이면 당원의 호출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원조친노 이광재 의원은 최근 ‘부산 갈매기 모임’을 띄우며 부산 선거에 적극적으로 결합하고 있다. 강원도 평창 출신이지만, 처가가 부산이라는 점을 들어 “부산의 사위”라는 걸 강조하고 있다. 강원도지사를 지낸 확고한 지역적 기반을 ‘노풍’의 진원지인 PK(부산·경남)까지 확대하려는 전략으로 보인다.


지난해 4·15 총선에서 여의도에 재입성한 뒤엔 ‘K-뉴딜 위원회’를 도맡아 당내 정책 업무를 수행해왔으며 지난해 연말엔 『노무현이 옳았다』를 출간해 자신의 ‘친노’ 적통성도 다시 강조했다.


대중적인 인지도가 낮다는 점은 이 의원의 단점으로 꼽힌다. 지난해 신년 특별사면으로 복권 받긴 했으나, 박연차 전 태광실업 회장 등으로부터 9만 5000달러를 수수한 혐의(정치자금법 위반)로 실형을 선고받았던 경력도 약점이다.


‘시골 이장 출신’ 김두관 의원도 지난달 윤 총장 탄핵을 공개적으로 제안하는 등 강성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25일엔 손실보상제에 대해 “논쟁이 아니라 행동해야 한다”며 다른 대선후보들을 공개 비판했다. 두 번의 대선 출마로 친문 진영과 다소 사이가 벌어졌지만, ‘친노’ 적통성과 PK 지역 기반이 강점이다.


여권 일각에선 TK 출신인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의 차출론도 나온다. 대중적인 인지도가 강점으로 꼽힌다. “수사기관이 노무현재단 계좌를 들어봤다”고 말한 것에 대한 최근 사과에 대해서도 “대선 출마 포석이 아니냐”는 얘기가 나돌았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