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MB정부 국정원 사찰 의혹 공방전에 역대 정부 줄줄이 소환

이영란 기자 / joy@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1-02-24 14:12:38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이낙연 "박근혜 정부 때도...진상 규명 위해 특별법 추진하겠다”
김기현 “비열한 정치 공작 …DJ-노무현 사찰 없었다면 소가 웃어”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4.7 재보궐선거를 앞두고 불거진 MB(이명박)정부 국정원의 불법사찰 의혹 파문과 관련해 여야 간 공방전이 과열되면서 DJ(김대중)정부는 물론 노무현. 박근혜 정부로까지 불통이 튀는 모양새다.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24일 불법사찰 의혹을 철저히 규명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오전 당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한 이 대표는 "이명박 정부 국정원의 불법사찰이 박근혜 정부까지 계속됐고 비정상적으로 수집된 문건이 20만건, 사찰 대상자는 무려 2만명"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특히 "이명박·박근혜 시절 청와대와 총리실이 어떤 목적으로 불법사찰 보고를 받았는지, 보고 받은 사람은 누구였는지, 보고 받은 뒤 어떤 지시를 내렸는지 등을 필히 밝혀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정보위에서 확인된 사실관계를 바탕으로 진상규명TF를 구성하고 개별 정보공개 청구와 특별법 등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불법사찰이 확인되고 있지만 야당은 선거용 정치공작이라며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라며 "선거는 모든 잘못을 덮는 방편이 될 수 없다. 어설픈 물타기를 할 것이 아니라 지금이라도 과거 잘못을 인정하고 협력하는 것이 옳다"고 촉구했다.


이에 대해 김기현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 글을 통해 "비열한 정치공작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김 의원은 "김대중·노무현 시절의 국정원 사찰은 궤변으로 정당화하고 이명박 박근혜 정부 사찰 의혹에 대해서만 연일 거론하면서 선거판을 흔들려는 공작정치의 망령이 되살아나고 있다"며 "김대중·노무현 시절 국정원 사찰이 없었다면 지나가는 소가 웃을 일"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김 의원은 "이미 김대중 정부 시절 도·감청을 통한 불법사찰로 당시 국정원장을 지낸 두 사람이 징역형을 선고받은 사실도 있다"며 "노무현 정부 시절에도 '국가안전보장회의(NSC)-외교부 충돌' 기사의 보도 경위 파악을 위해 모 언론사 기자의 통화 내역을 사찰했다. 국회를 상시 출입하며 야당 국회의원들의 민감한 신상 정보를 수집해 보고한 것도 이미 다 알려진 사실"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