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당 전통 파괴 경선룰, 후보 간 사전 협의도 전혀 없었다”
민주당에서 제일 먼저 출마를 선언했던 김두관 전 의원은 이날 경선 불출마를 포함한 결단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모든 공개 일정을 취소했다.
이에 대해 김 전 의원측은 언론 공지를 통해 “이번 룰은 이재명 전 대표에게 90% 이상 몰표가 가도록 설계됐다”며 “경선 참여 거부를 포함해 내부 논의 중이고 오늘 안에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만일 경선 참여 거부를 결정하더라도 대선 불출마를 의미하지 않는다"고 강조해 무소속 출마 가능성을 열어놨다.
또 다른 주자인 김동연 경기지사는 “특정 후보를 위한 맞춤형 설계로, 그 과정에서 후보 간 협의가 전혀 없었다”고 절차적 정당성 문제를 지적하면서 경선 보이콧 가능성을 시사했다.
특히 “이 룰은 민주당이 수십 년간 지켜온 완전국민경선 원칙과 전통을 파괴하는 행위”라며 “과거 노무현ㆍ문재인ㆍ이재명 후보 모두 국민 선거인단 방식으로 선출했던 전통을 뒤집는 건 정당의 정체성 훼손”이라고 질책했다.
그는 당 지도부가 내세운 ‘역선택 방지’ 명분에 대해서도 “핑계에 불과하다”면서 “시민의식을 믿고 참여를 보장하는 게 선거의 기본”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경선 룰 확정 후 입장을 밝히겠다”며 사실상 경선 보이콧 가능성을 열어뒀다.
반면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경선 룰 논의는 샅바 싸움의 성격이 있다. 당이 결정하면 따르는 것이 당원의 도리”라고 결을 달리하면서도 “최근 6개월간 한 번이라도 당비를 납부한 당원에게도 투표권을 부여하는 방안을 건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경선룰 설계 작업은 특별당규준비위원장인 친명계 이춘석 의원이 주도했다.
이에 따라 대표직에서 물러난 이재명 전 대표가 여전히 당내 경선 구조에 깊숙이 관여하고 있다는 지적이 비명계 일각에서 제기되기도 했다.
민주당은 2021년 대선 경선까지 100% 국민 선거인단 투표 방식을 채택해왔다.
그러나 이번에는 별도의 선거인단을 모집하지 않고 권리당원과 여론조사만으로 후보를 선출하면서, 개방성과 외연 확장 가능성을 배제했다는 비판에 직면해 있는 상태다.
민주당은 이날 오후 중앙위원회 온라인 투표 결과를 바탕으로 경선 특별당규를 최종 발표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