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대명 경선’ 들러리 설 수 없다”

전용혁 기자 / dra@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5-04-13 11:09:21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민주 비명계 주자들 50:50 경선룰에 반기...국민경선 촉구

[시민일보 = 전용혁 기자]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를 뽑는 경선 규칙을 놓고 당 위원회와 비명(비이재명)계 후보측이 대립하면서 막판 진통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당내에서는 당심을 50% 반영하는 국민참여경선으로 가닥을 잡았으나 비명계 후보측은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와 국민경선을 주장하고 있다.


민주당 관계자는 13일 “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는 어제 ‘권리당원 투표 50%ㆍ일반 국민 여론조사 50%’로 후보를 선출하는 방식의 경선룰을 확정ㆍ의결했다”며 “경선 규칙은 당무위원회의와 전당원투표 등을 거쳐 이르면 내일 최종 확정된다”고 밝혔다.


하지만 14일 이 같은 안이 최종 확정될 수 있을지 의문이다.


그동안 당 주류는 국민참여경선을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을 이어온 반면 비명계는 선거인단으로 모집된 일반 국민과 대의원ㆍ권리당원에게 동일한 ‘1인 1표’를 보장하는 국민경선을 선호하고 있다.


하지만 이 전 대표측은 2021년 대선 경선 3차 국민 선거인단 투표에서 이낙연 당시 후보에게 패배한 것에 대해 “특정 종교 집단ㆍ정당 지지층의 개입 때문”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국민경선은 안 된다는 것이다.


이에 비명계 일각에선 경선 중도 하차를 시사하는 등의 격앙된 반응을 보이고 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대리인인 고영인 전 경기도 경제부지사는 전날 입장문을 통해 “김동연 캠프는 ‘국민선거인단 없는 무늬만 경선’에 대해 단호히 반대한다”며 “노무현 전 대통령이 선출되던 16대 대선 경선 때부터 이 전 대표가 후보로 선출됐던 20대 대선 경선 때까지 모두 국민선거인단을 통한 경선이 원칙이었다”고 주장했다.


이어 “당규준비위원회는 이번 대선특별당규 경선방식을 재고하고 이재명 후보도 특별당규위의 결정을 바로잡는 데 역할을 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우리는 심각한 고민과 결단을 해야 할지도 모른다”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기존 룰을 적용하는 것이면 몰라도 룰을 바꾸려면 후보 당사자측과 함께 논의 테이블을 만들어서 납득할만한 룰을 도출해야 한다"며 당 지도부와 이재명 예비후보측에 경선 규칙 재고를 촉구했다.


김두관 전 의원측도 반발했다.


김 전 의원 측 백왕순 대변인은 논평에서 "경선 당사자인 후보 측과 경선 룰에 대해 협의조차 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결정했다"며 "지금의 민주당 모습은 너무 위험하다"고 우려했다.


이어 "민주당이 야당 지도자를 인정하지 않고 불통으로 일관했던 윤석열과 국민의힘을 닮아가선 절대 안 된다"며 “지도부가 후보자 의견을 듣지 않고 계속 불통한다면 ‘어대명’ 추대 경선의 들러리로 나서는 것에 대해 깊이 고민할 수밖에 없다. 어대명(어차피 대선 후보는 이재명) 경선 참여가 무슨 의미가 있는지 숙고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김 전 의원도 한 라디오 방송에서 "경선 룰을 정하는 과정에서 비민주적으로 했다"며 "역선택을 우려해서 결정한 것으로 들었지만 아쉽긴 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오픈프라이머리 방식의 경선을 요구해 온 김부겸 전 국무총리는 지난 9일 민주당 경선 불참을 선언했다.


이춘석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장은 “저희가 정한 방법은 지금 출마를 선언한 후보들 어느 누구도 동의하지 않는다”라며 “하지만 우리에게 주어진 시대적 소명, 그리고 갑자기 대선이 열리는 시간적 급박성 등을 고려해 지금의 경선 방식을 도출한 것이다. 이를 향후 더 설명드리고 같이 참여해서 잘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