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정당, 대선 앞두고 분열?...‘민주당 합류’ 또는 ‘독자노선 고수’

이영란 기자 / joy@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5-05-12 12:35:24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4당, 이재명과 전략적 연대…민주노동당, ‘김영국 출마’로 차별화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6·3 대선을 앞두고 조국혁신당, 진보당, 기본소득당, 사회민주당 등 4개 진보정당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공동선거대책위원회에 합류한 가운데 진보정당의 원류인 민주노동당이 12일 권영국 후보로 독자노선을 고수하는 모습이어서 대선판 변수가 될지 주목된다.


특히 이번 대선에서 진보정당이 이재명 중심의 진보 연합, 노동 중심의 독자 정통 진보로 분열되면서 진보 정치의 미래를 가늠하는 분기점이 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이날 구로디지털단지 첫 유세에 나선 민주노동당 권영국 후보는 “진보정당의 출발점이라 할 수 있는 구로동맹파업의 상징적 장소에서 유세를 시작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며 “노동자들의 대통령이 되어 사회를 근본부터 바꾸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권 후보는 쌍용차 정리해고 사건, 구의역 김군 사고 진상조사 등 굵직한 노동사건에서 법률대리인으로 활약해온 인물로, 풍산금속 해고노동자 출신이자 1999년 사법시험에 합격한 ‘현장 노동자 출신 인권변호사’다.


현재 정의당, 노동당, 녹색당, 시민사회단체 등이 참여한 ‘사회대전환 대선 연대회의’의 단일후보로 추대돼 진보 정치의 상징성을 앞세워 선거에 임하고 있다.


특히 지난 2022년 지방선거 당시 정의당이 비례대표 광역의원 득표율 3%를 넘기며 공직선거법상 TV토론 참여 기준을 충족한 만큼 권 후보의 메시지가 공론장에 오를 기회도 충분하다는 관측도 나온다.


그의 대표 공약은 ▲시민최저소득 100만원도입 ▲노조법 2ㆍ3조 개정 ▲초부유세 도입(상위 0.1% 대상) ▲포괄적 차별금지법 제정 ▲낙태죄 대체입법 ▲동성혼 법제화 ▲인권 존중 기반의 난민법 제정 등으로, 전통적 진보 의제를 선명하게 관철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는 평가다.


이날 유세에는 한상균 전 민주노총 위원장을 비롯해 노동당ㆍ녹색당 대표 및 청년ㆍ노동계 지도부들이 동참하며 ‘진보 본류의 단결’을 과시했다.


권 후보는 “진보 정치가 거대 양당의 보조수단으로 전락한 현실에 맞서 독자적 노선을 끝까지 지켜내겠다”고 밝혔다.


한편 앞서 지난 9일 대선 불출마를 선언하며 이 후보 지지를 공식화한 진보 4당은 민주당에 ▲국회 교섭단체 구성 요건 완화 ▲비례대표제 강화 ▲지방선거 후보 단일화 및 전략공천 등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이 후보가 대선에서 승리할 경우, 이들의 ‘정책 청구서’가 정부 구성에 실질적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특히 이런 방식의 합류를 두고 정치적 진정성과 독자성보다는 ‘이재명 효과’에 편승한 실리 추구라는 비판도 나온다.


국민의힘은 “대선 후보도 내지 않는 정당이 선대위에 참여하는 것은 정당의 기본 책무를 저버린 것”이라며 “정치적 꼼수이자 선거법 위반 소지도 있다”고 맹비난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