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김하영 의원. |
김 의원은 “행정 절차보다 주민의 생명과 안전이 우선돼야 한다”며, “사고 발생 이후의 조치만으로는 유사 사고를 막기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삼청로11길 일대에서 발생한 사고는 주민이 사전에 사고 위험을 알리고 예방 조치를 요청했으나, 관련 논의만 이어졌을 뿐 실질적 조치가 이뤄지지 않아 발생한 사고라는 점에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김 의원은 과거 홍지동 81-1번지 일대 사례를 언급하며 사전 점검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당시 해당 부지 벌목 작업 이후 붕괴 위험이 제기되자, 김 의원은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종로구 조례를 근거로 긴급안전점검 및 조치를 촉구했고, 이에 따라 구는 토지 소유자에게 위험 요인 제거를 요청하여 재난 안전 보수·보강이 이뤄졌다.
이러한 선제적 대응 덕분에 해당 부지는 이번 집중호우에도 피해 없이 넘어갈 수 있었다.
김 의원은 “홍지동 사례처럼 위험 징후가 포착된 경우, 선제적인 점검과 조치가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며 “지금처럼 사고가 난 뒤에야 대응하는 방식은 더 이상 반복돼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김 의원은 “이번 사고를 계기로 종로구가 보다 실효성있는 사전 점검 체계를 마련해 유사 사고 예방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