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 이상땐 1개 추가 가능
어린이보호구역 등 설치 금지 [시민일보 = 홍덕표 기자] 이달 12일부터 정당 현수막을 읍·면·동별로 최대 2개씩만 달 수 있도록 한 '옥외광고물법' 개정안이 시행된다.
행정안전부는 정당 현수막의 개수와 설치장소 등 제한을 강화하는 내용의 '옥외광고물 등의 관리와 옥외광고산업 진흥에 관한 법률'(옥외광고물법) 및 시행령 개정안이 최근 국무회의에서 의결됐다고 9일 밝혔다.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함에 따라 각 정당이 걸 수 있는 현수막 개수는 읍·면·동별 2개 이내로 제한됐다.
단, 면적이 100㎢ 이상인 읍·면·동의 경우 현수막 1개를 추가 설치할 수 있다.
개정안에 따르면 보행자나 교통수단의 안전을 저해하지 않는 곳에만 현수막을 설치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장소 및 규격 등은 시행령에서 정하도록 했다.
이와 함께 어린이보호구역과 소방시설 주변 주정차 금지표시가 설치된 구간에는 정당 현수막 설치가 금지된다.
보행자 통행이나 차량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할 우려가 높은 교차로, 횡단보도, 버스정류장 주변에는 현수막의 아랫부분 높이가 2.5m 이상이 되도록 설치해야 한다.
다른 현수막이나 신호기, 안전표지도 가리지 않아야 한다. 교통안전표지 등이 설치된 전봇대나 가로등 기둥에 설치하는 경우 시설물이 강풍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현수막 개수를 2개 이내로 제한한다.
현수막 규격은 공직선거법에 따른 선거 현수막과 동일하게 10㎡ 이내이다.
현수막 글자는 표시기간(시작일과 종료일 병기), 연락처(정당 및 설치업체) 등을 명확하게 알아볼 수 있도록 최소 세로 5cm 이상이어야 한다.
아울러 표시기간(15일)이 지난 현수막은 자진 철거해야 하며 개수, 장소 등 표시 및 설치 방법을 위반한 정당 현수막은 지자체에서 철거할 수 있다.
행안부는 현수막 개수를 개별적으로 규정한 일부 지방자치단체 조례는 조속히 정비될 수 있도록 각 지자체와 협력한다는 계획이다.
행안부 고기동 차관은 "정당 현수막 난립 방지를 위한 개선사항들이 현장에서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정당, 지자체와 긴밀히 협력하겠다"며 "변화된 환경을 국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현장에서 집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