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17만명 1조3421억 임금체불··· 경기도 최다

문민호 기자 / mmh@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5-09-07 14:37:01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수도권 7602억···전체의 56%
경남·부산도 700억 이상 체불
노동부, 매월 시도별 현황 공유

[시민일보 = 문민호 기자] 올해 7월까지 노동자 17만여명의 임금 1조3421억원이 체불된 것으로 나타났다. 17개 시도 중에서 경기도의 체불 규모가 가장 컸으며, 전체 체불액의 절반 이상이 수도권에 집중된 것으로 집계됐다.

7일 고용노동부가 공개한 17개 시도별 임금체불 현황에 따르면 지난 7월 기준 임금체불 총액은 1조3421억원, 체불 피해 노동자는 17만3000명으로 집계됐다.

시도별로는 경기도가 3540억원으로 체불액이 가장 많았으며, 경기도에서 일하는 4만3200명의 노동자가 임금을 제때 받지 못한것으로 파악됐다. 그 다음으로 서울이 체불액 3434억원으로, 노동자 4만7000명이 체불 피해를 입은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서울에 이어 경남(756억원·1만400명), 부산(745억원·1만400명), 광주(672억원·4400명) 순으로 체불 규모가 컸다.

경기·서울·인천 등 수도권의 체불액은 7602억원으로 전체의 56.6%에 달했다. 이는 사업체가 경기(25%)와 서울(18.8%)에 집중돼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분야별 체불액을 보면, 서울은 운수·창고·통신업·건설업에서 체불액이 많았고, 제주는 건설업 및 도소매·음식·숙박업의 체불 규모가 컸다. 그 외 지역에서는 제조업·건설업 비중이 높았다.

노동부가 지자체별 체불 현황을 분석해 지방 정부와 공유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노동부는 임금 체불이 중앙 정부만의 문제가 아닌 만큼 앞으로 매월 시도별 체불 현황을 지자체와 공유하고 협력할 방침이다.

김유진 노동부 노동정책실장은 "10월 지자체와 전국적으로 대규모 체불 합동 단속을 추진한다"면서 "지자체에 근로감독 권한을 위임하기 위한 법적·제도적 근거도 이른 시일 내에 마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