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륙 통과··· 열차·항공기·여객선 무더기 운행 중단 [시민일보 = 이대우 기자] 10일 오전 9시20분께 제6호 태풍 ‘카눈’이 경남 거제로 상륙함에 따라 경상권과 전남 등지에서 1만여명이 마을회관이나 경로당 등으로 대피했으며, 열차·항공기·여객선이 무더기로 운행이 중단됐다.
현재 카눈의 북진 속도는 시속 25㎞이며, 내륙 지역을 남북으로 관통 후 11일 북한 지역으로 이동할 전망이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10일 오전 11시 기준 일시 대피자가 12개 시·도 83개 시·군·구에서 1만641명이며, 이중 경북이 6569명으로 가장 많고 경남 2695명, 전남 948명, 부산 331명 등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아직 집계된 인명 피해나 재산 피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오전 10시까지 누적 강수량은 경남 창원 249.0㎜, 경북 경주 218.0㎜, 울산 197.0㎜, 강원 삼척 185.5㎜, 부산 184.0㎜, 전북 남원 177.5㎜ 등이다.
특히 태풍의 북상에 따라 통제 지역은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우선 도로 490곳, 둔치주차장 255곳, 하천변 525곳, 해안가 166곳 등이 사전 통제됐으며, 지리산 등 21개 국립공원의 613개 탐방로와 숲길 전 구간도 통제 상태다.
또 광릉·세종 국립수목원은 10일, 백두대간 국립수목원은 9∼11일 휴원하고, 14개 공항 355편의 항공기가 결항됐다.
파도가 높아지고 바람이 세진 가운데 여객선 102개 항로 154척과 도선 76개 항로 92척의 운항도 중단됐다.
철도는 이날 첫차부터 고속열차 161회, 일반열차 251회, 전동열차 44회의 운행이 중지됐으며, 집중호우 피해를 복구 중인 3개 노선(충북·정선·영동 일부)의 운행도 중단됐다.
또 태풍 피해 예방을 위해 태백선, 경북선, 영동선(동해∼강릉), 대구선, 중앙선(안동∼영천) 등 일반선 5개 노선과 부산도시철도 1~4호선 지상구간, 부산김해경전철 등도 운행 중지됐다.
이상민 중대본부장은 이날 회의에서 "하천변 산책로, 해안가 저지대 도로, 지하차도 등을 철저히 통제하고, 반지하주택, 산지 주변 주택 등 위험지역 내 거주자는 즉시 대피시키라"고 강조했다.
이어 국민에게도 "다소 불편함이 있더라도 정부의 사전 통제와 대피 조치에 적극 협조해 태풍이 지나갈 때까지 외출을 자제하고 안전한 실내에 머물러달라"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그는 “시·도와 시·군·구 재난상황실의 경우 국장급 이상을 책임자로 해 태풍 상황이 끝날 때까지 24시간 비상근무태세를 유지해달”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