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사운영 차질 가능성 커 [시민일보 = 여영준 기자]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방침에 반발한 의대생들이 집단으로 휴학계를 제출하면서 의과대학의 학사운영 차질이 불가피해질 전망이다.
21일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 19일 1133명에 이어 20일 7620명의 의대생이 휴학을 신청했다. 의대 재학생이 2만명으로 추산되는 점을 고려하면 동맹휴학에 나선 의대생이 재학생의 절반에 육박하는 셈이다.
교육부가 구체적인 대학명과 학교별 휴학 신청자 숫자를 공개하지 않았지만, 19일 7개 대학, 20일 27개 대학에서 휴학 신청서가 접수됐기 때문에 이틀간 중복 집계된 학교를 감안하더라도 전국 40개 의대 중 약 30개 대학에서 집단행동에 동참한 것으로 추정된다.
정부와 대학 측은 동맹휴학은 휴학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하지만 휴학이 승인되지 않더라도 일부 학생들이 '수업·실습 거부'를 이어간다면 학사 운영이 차질을 빚을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20일 성균관대 의대의 경우 다수 학생이 수업에 출석하지 않고 교수진이 병원 진료에 투입되면서 일부 수업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건양대 의대 본과 3학년 학생들도 20일부터 수업 거부에 나섰다.
부산대 의과대 비상시국 정책대응위원회 역시 20일을 기점으로 수업·실습을 거부하겠다고 밝혔다.
전공의들의 집단사직, 근무지 이탈과 맞물려 의대생들이 이처럼 집단행동에 나서면서 '의료대란'에 대한 정부의 부담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의·정 대치가 장기화해 오는 3월까지 넘어갈 경우 의과대 내부에서도 견해차가 불거질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파업과 달리 휴학은 앞으로의 진로 선택과 진급·국가고시 응시 등에 계속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학생들 입장에서도 장기간 수업·실습을 거부하기 쉽지는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의대 학생대표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의대협)가 동맹휴학을 결의하는 과정에서도 집단행동의 수위와 방식에 대해 다양한 의견이 충돌한 것으로 전해졌다.
교육부 관계자는 "학생들이 흔들림 없이 학업을 지속하고 면학 분위기가 흐려지지 않도록 대학이 적극적으로 협조해달라는 입장을 전달했다"며 "단체행동 등으로 학생들이 학습권을 침해받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황을 계속 점검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