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해자 신상 공개 및 저격 …'사적제재’ 논란 묻는 설문조사 결과 49% ‘적절하다’

이창훈 기자 / issue@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3-10-31 15:41:15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네이트 이용자 7,745명 대상 설문실시 .....‘강력범죄에 한해 사적 제재 찬성’ 답한 응답자도 44%
4%만 ‘사법체계 안에서 해결 필요’ 사적제재 부적절 답해
“납득 어려운 흉악범죄 처벌수준에 대한 실망감 ‘사적 제재’ 압도적 지지로 표출된 듯”
▲ ‘네이트 Q’ 설문결과

최근 적법한 절차 없이 SNS, 커뮤니티 등을 중심으로 흉악 범죄자의 신상공개가 이뤄지는 등 과도한 사적 제재가 이뤄지고 있다. ‘네이트Q’가 ‘부산 돌려차기’, ‘묻지마 칼부림’ 등 불특정 다수를 겨냥한 잇따른 흉악범죄로 국민적 공포와 분노가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진 가운데 한층 뜨거워진 사적 제재 논란에 대한 네티즌의 의견을 물었다.

SK커뮤니케이션즈 (이하 SK컴즈, 대표 장우홍) 시사 Poll 서비스 ‘네이트Q’가 최근 성인남녀 7,745명을 대상으로 ‘범죄 가해자의 신상 공개 및 저격 등 사적 제재’ 논란에 대한 의견을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 중 49%(3,856명)가 적절하다는 지지 의견을 표했다.

이어 전체 응답자 중 44%(3,480명) 역시 ‘강력범죄에 한해서 인정한다’며 선택적 지지 의견을 전했다.

반면 ‘사법체계 안에서 해결되어야 하며 사적 제재는 부적절’하다는 의견을 표한 응답자는 4%(335명)에 그쳤다.

세대별로는 공정과 정의를 중시하는 젊은 세대일수록 ‘사적 제재가 적절하다’는 지지의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에 참가한 20대와 30대 응답자의 경우 각각 53%와 51%로 ‘범죄 가해자에 대한 사적 제재’ 지지의견을 나타낸 반면 50대와 60대이상의 경우 ‘강력범죄에 한해 인정한다’는 선택적 지지 응답이 각각 48%, 5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사적 제재’의 부적절성을 지적하는 의견에서는 남녀간 큰 인식차를 보이기도 하였다. 전체 남성 응답자 중 7%가 ‘사적제재는 부적절하다’고 답한 반면 여성 응답자의 경우 3%만이 ‘사적 제재’에 대한 반대의견을 표했다. 이는 폭력과 범죄에 대한 노출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은 여성들의 분노감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설문조사 댓글에서는 ‘사적 제재’에 대한 배경으로 사법체계 불신을 지적하는 글들이 이어졌다. ‘우리 법적 처벌 수준이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수준으로 올라올 때까지 강력범죄 등에 대한 사적 제재가 필요하다’, ‘왜 범죄자 인권을 존중해줘야 하는가…우리나라는 피해자보다 가해자가 살기 좋은 나라다’, ‘인권 따지다 다 봐주는 것이 문제다…강력범죄에 대한 법이 너무 약하다’ 등 강력 범죄자들에 대한 보다 강력한 처벌 필요성을 주장하는 의견들이 많았다. 반면 ‘섣부른 사적 제재는 제2, 3의 피해자를 낳을 수 있다는 점에서 절대 반대한다’며 사법체계 내에서 처리되어야 한다는 의견도 눈에 띄었다.

설문조사 결과와 관련, 안지선 SK컴즈 미디어서비스 팀장은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흉악범죄에 대한 국민적 분노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여전히 납득하기 어려운 처벌수위 등으로 인한 실망감이 ‘사적 제재’에 대한 압도적 지지로 표출된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법적 근거가 없는 과도한 사적제재는 자칫 무고한 피해자를 낳을 수도 있다는 점에서 균형적인 시각과 함께 높아지는 국민들의 요구에 부합하는 실효성 있는 사법체계 개선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