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509가구 4717명 일시대피··· 914명 귀가 못해
[시민일보 = 여영준 기자]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제11호 태풍 '힌남노'가 지나간 뒤 7일 오전 11시 현재 기상특보는 모두 해제됐다고 밝혔다.
중대본에 따르면 지난 3일 이후 누적 강수량은 7일 오전 10시 기준 제주(윗세오름) 1059㎜, 경북 경주 447.5㎜, 경북 포항 418.2㎜, 울산 385.5㎜에 이르렀다.
일시 대피자는 3509세대 4717명인데, 경남이 2380명으로 가장 많으며 경북 1047명, 전남 720명, 부산 420명 등이다.
이들 가운데 아직 공공시설과 마을회관, 경로당 등에 머무는 미귀가자는 536세대 914명이라는 게 중대본의 설명이다.
피해 조사가 진행되면서 농작물 등의 피해 규모는 늘고 있다. 벼가 물에 잠기거나 배·사과 등이 떨어지는 등 5131.5㏊(헥타르·1㏊=1만㎡)의 농작물 피해가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경북 2329.9ha, 경남 862.4ha, 전남 1124ha 등에서 피해가 컸다.
이번 태풍으로 인한 시설피해는 주택 침수 등 사유시설 1만1934건, 도로·교량 등 공공시설 426건 등으로 파악됐다. 경북에 주택·상가 침수 피해가 집중됐다.
정전은 총 200건으로, 8만9203가구가 피해를 입었는데 복구율은 98.2%다.
여객선은 1개 항로 1척의 운항이 중단 상태이며 대부분 운항을 재개했다.
항공과 철도는 지난 6일 오후 전 구간 정상 운행을 시작했다. 도로는 이날 오전 국도 4호선 응급복구가 완료돼 모두 정상 운행중이다.
중대본은 이번 태풍으로 이날 오전 11시 현재 사망 10명, 실종 2명, 부상 3명 등의 인명피해가 났다고 잠정 집계했다.
중대본에 따르면 경북 포항에서 9명이 사망하고 1명이 실종됐다. 경주에서도 1명이 사망했으며 울산에서는 1명이 실종됐다.
전날 오전 포항 남구 인덕동의 한 아파트에서는 차를 빼러 갔던 주민들이 연락이 안 된다는 가족들의 신고가 들어와 소방 당국이 수색을 벌인 끝에 2명을 구조했다.
그러나 이후 계속된 수색작업에서 다른 7명은 심정지 상태로 발견된 것으로 알려졌다.
소방당국은 애초 신고자 수를 기준으로 7명이 실종됐다고 판단했으나 신고되지 않은 2명이 추가됐다.
실종자 2명은 포항 장기면 인근과 울산 각각 1명인 것으로 잠정 집계했다는 게 중대본의 설명이다.
중대본은 지난 6일 오후 9시부터 비상근무 3단계를 1단계로 하향 조정하고 태풍 대처 위기경보 수준도 '심각'에서 '주의'로 낮췄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로컬거버넌스] 경남 합천군, 쌀 산업 위기 극복 팔걷어](/news/data/20251119/p1160278499965424_411_h2.jpg)
![[로컬거버넌스] 경남도교육청, 올해 ‘공동 수학여행’ 성공적 마무리](/news/data/20251118/p1160278826050924_127_h2.jpg)
![[로컬거버넌스] 부천시, 매력적인 도시공간 조성 박차](/news/data/20251117/p1160308292200179_732_h2.jpg)
![[로컬거버넌스] 전남 영암군, ‘에너지 지산지소 그린시티 100’ 사업 추진](/news/data/20251117/p1160278744105355_303_h2.jpg)





